독신도 장애인도…서울 공동체주택 1만 가구 공급

독신도 장애인도…서울 공동체주택 1만 가구 공급

입력 2015-03-11 10:33
수정 2015-03-11 10: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설계부터 입주까지 안전 구축…SH공사 혁신약정 발표

기존 공공임대주택 정책에서 배제된 독신, 노숙인, 장애인 등을 위한 맞춤형 공동체주택이 2018년까지 서울에 1만 가구 공급된다.

서울시 SH공사는 11일 이러한 내용의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혁신방안은 주거복지, 도시재생, 안심 주거서비스, 건전 재정, 청렴과 인사혁신 등 5개 분야로 이뤄졌다.

주거복지 분야에선 기존에 임대주택 공급과 시설물 관리에 치중하던 11개 주거복지센터를 4개 권역별 주거복지단 체제로 개편해 주거비 지원, 민간주택 관리, 주거지원까지 기능을 확대한다.

또 1인 가구를 위한 주택을 내년부터 연 2천500가구, 노숙인과 장애인을 위한 자립·자활주택을 300가구, 민간주택 임차형 주택을 400가구, 민간 비영리조직의 사회주택을 100가구 공급해 2018년까지 다양한 공동체주택 1만 가구를 조성한다.

도시재생 분야에선 ‘공공 디벨로퍼(developer)’의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창동·상계 복합문화공연장 조성 등 시가 추진하는 사업에 참여하고, 300㎡ 내외의 공공 자투리땅을 이용해 부족한 시설을 공급한다. 공원, 주차장, 도서관 등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10분 동네’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또 열악한 주거지를 정비하고, 뉴타운 해제지역에선 소규모 주거재생사업이 확산될 수 있게 투자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시재생 계정을 별도로 마련하고 리츠(REITs)도 설립해 총 1조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안심 주거서비스 분야에선 하자 관리 전담직원을 3배 늘려 서비스혁신처를 신설한다.

또 하자관리 대행 전문업체와 계약하고, 입주 시 미처리 하자 비율이 10%를 넘으면 부적격 업체로 선정해 입찰 참가를 제한하는 동시에 긴급보수비용 100억원도 편성한다.

건설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30분 내 응급조치, 3시간 내 복구, 3일 내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한다는 ‘3·3·3 안전시스템’도 구축한다.

공사는 2018년까지 부채도 3조원 줄여 건전 재정을 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사장, 감사, 노조위원장 간 핫라인을 구축해 비리를 막고 입찰비리 신고센터를 만든다. 처장급 이상 개방형 직위를 확대해 전문성도 높인다.

변창흠 SH공사 사장은 “올해부터 혁신 약정을 시행해 최고의 주거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