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아프리카 니켈광산 개발사업 의혹 본격수사

검찰, 아프리카 니켈광산 개발사업 의혹 본격수사

입력 2015-03-20 15:56
수정 2015-03-20 15: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물공사가 경남기업에 빌려준 130억원 사용처 추적

자원외교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아프리카 니켈광산 개발사업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2006년부터 1조4천억원이라는 천문학적 투자가 이뤄졌으나 2020년까지 적자가 예상돼 이명박 정부 자원외교의 실패작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20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산 개발사업에 참여한 경남기업이 광물자원공사로부터 130억원을 융자받는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대출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 쓰지 않았는지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검찰은 광물자원공사로부터 대출 관련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받아 분석하는 한편 경남기업 관계자들을 불러 구체적인 자금 사용처를 캐묻고 있다.

검찰은 경남기업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회계자료를 분석하고 관련 계좌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수상한 자금흐름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자금 사용처를 확인하는 게 우선 수사대상”이라고 말했다.

광물자원공사는 경남기업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암바토비 개발사업에 뛰어든 2006년부터 2008년 사이 경남기업에 130억원을 빌려줬다. 경남기업이 석유공사를 통해 330억원을 차입한 뒤 횡령한 혐의가 있는 ‘성공불융자금’과 달리 일반 융자다.

해외자원개발사업법은 외국 광물자원개발에 참여하는 업체에 융자심의회를 거쳐 사업비의 최대 80%를 빌려줄 수 있도록 했다. 검찰은 경남기업이 광물자원공사를 통해 빌린 130억원을 다른 데 쓴 혐의가 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이 암바토비 개발사업 수사에 착수함에 따라 지분정리 과정에서 광물자원공사가 경남기업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광물자원공사는 2006년 10월 경남기업 등 국내업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암바토비 개발사업에 1조9천여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계약 당시 지분구조는 광물자원공사 21%, 경남기업과 대우인터내셔널 2.75%, STX 1%였다.

광물자원공사는 경남기업이 자금사정 악화로 내지 못한 투자비 171억여원을 대신 내주고 납부시한을 연장해줬다. 경남기업이 2010년 사업지분을 매각할 당시 계약조건과 달리 투자금 100%를 주고 지분을 인수하기도 했다. 당시 계약조건대로라면 투자비를 미납할 경우 투자금의 25%만 받고 지분을 반납해야 했다. 이 때문에 광물자원공사는 116억원의 손해를 봤다.

이 과정에서 김신종(65)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이 당시 국회의원이던 성완종(64) 경남기업 회장의 부탁을 받고 지분을 사들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은 경남기업이 러시아 캄차카반도 석유탐사 비용 등 명목으로 빌린 성공불융자금 330억원의 사용처도 계속 추적 중이다. 100억원 안팎이 가족 명의 계좌 등으로 빼돌려진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다음주께 성 회장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경남기업은 “암바토비 지분매각 당시 워크아웃 중이어서 채권단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산매각을 결정한 것이고 특혜와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융자금 횡령 혐의에 대해서는 “융자금은 지분율에 따라 적법하게 집행됐고 유용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