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대학 캠퍼스에 난데없이 벌떼가 쏟아져 나와 학생과 교직원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대학 캠퍼스로 쏟아져나온 벌떼 28일 서울 동작구 숭실대 진리관 옥상 도시양봉장에서 기르던 벌 수만 마리가 여왕벌을 쫓아 건물 주변으로 쏟아져 나오는 상황이 벌어졌다.
연합뉴스
이번 소동은 28일 낮 12시께 동작구 숭실대학교 진리관 옥상 도시양봉장에서 기르던 벌 수만 마리가 건물 1층 주변으로 쏟아져 나오면서 빚어졌다.
숭실대 관계자는 “의생명공학과 모 교수가 지난해 2학기에 연구용으로 벌통 7∼8개를 설치했는데, 오늘 여왕벌 한 마리가 건물 1층으로 탈출하면서 일벌들이 몽땅 뒤따라 내려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교 측은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유도용 페로몬을 이용해 여왕벌을 건물 2층에 놓인 새 벌통으로 유인했고, 다행히 여왕벌을 벌통에 집어넣는 데 성공해 오후 1시께 상황을 수습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학생과 교직원들이 놀라 몸을 피하는 소동이 있었지만, 벌에 쏘이는 등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학교 관계자는 “연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프닝”이라며 “벌집 철거 등을 요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대학 캠퍼스로 쏟아져나온 벌떼
28일 서울 동작구 숭실대 진리관 옥상 도시양봉장에서 기르던 벌 수만 마리가 여왕벌을 쫓아 건물 주변으로 쏟아져 나오는 상황이 벌어졌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숭실대 관계자는 “의생명공학과 모 교수가 지난해 2학기에 연구용으로 벌통 7∼8개를 설치했는데, 오늘 여왕벌 한 마리가 건물 1층으로 탈출하면서 일벌들이 몽땅 뒤따라 내려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교 측은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유도용 페로몬을 이용해 여왕벌을 건물 2층에 놓인 새 벌통으로 유인했고, 다행히 여왕벌을 벌통에 집어넣는 데 성공해 오후 1시께 상황을 수습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학생과 교직원들이 놀라 몸을 피하는 소동이 있었지만, 벌에 쏘이는 등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학교 관계자는 “연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프닝”이라며 “벌집 철거 등을 요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