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교편 잡은 지 22년… 그롯트 파스칼 방송대 교수가 말하는 사제의 정
“스승의 날이란 것 자체가 없는 프랑스에 비해 한국은 사제 간에 애틋한 정이 있어 정말로 부럽습니다.”
그롯트 파스칼 한국방송통신대 불어불문학과 객원교수
“숭실대에서 첫 스승의 날을 맞았는데 학생들이 스승의 날 노래를 부르며 저에게 꽃다발을 안겨 주더군요. 근데 그 학생이 남자였어요. 프랑스에선 남자가 남자한테는 꽃을 주지 않는데 생소하면서도 참 고맙더군요. 당시만 해도 외국인 교수가 많지 않았는데 학생들이 내복, 포도주 등을 선물로 주며 살갑게 대해 줘서 매우 고마웠습니다.”
일본인 외숙모와 함께 자란 것을 계기로 파리7대학 일본어학과에 진학한 파스칼 교수는 한·일 관계 등 역사를 공부하며 한국에도 관심을 가지게 됐다. 한국어를 복수전공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 학위까지 딴 그는 파리에서 만난 지금의 한국인 아내와 결혼하고 1993년 서울로 와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에게도 기억에 남는 스승이 있었다. 한국어를 힘들게 공부하던 시절이었는데 자신의 질문에 귀찮아하지 않고 하나부터 열까지 답해 주던 한국인 교수였다. 파스칼 교수는 “한국에 온 뒤 늘 그분의 소식이 궁금했는데 지난해 암으로 돌아가셨단 얘기를 들어 너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2013년부터 방송대에서 매주 한 번 오프라인으로 만나는 ‘영화로 배우는 프랑스어 회화’ 수업을 진행 중인 그는 이번 스승의 날에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수강생들과 술 한잔 기울일 예정이다. 그는 지난달 불문과 엠티에서 학생들과 직접 홍합탕을 만들어 먹었을 정도로 한국 요리에도 자신감이 붙었다.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서 끈끈한 정을 나누고 있습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5-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