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방역 대책도 부실
질병관리본부와 자치단체의 역학조사 인력이 부족하고 전문성도 떨어져 메르스 방역 대책이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10일 보건복지부와 지자체에 따르면 국내 역학조사관은 질병관리본부 소속 14명, 17개 시·도에 1~2명씩 18명, 인천공항 검역소에 2명 등 모두 34명이 있다. 이 중 정식 역학조사관은 질병관리본부 소속 2명이고 나머지는 공중보건의다. 시·도 역학조사관은 모두 복지부에서 파견한 공중보건의다. 이 때문에 메르스와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면 지자체는 물론 질병관리본부마저도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대처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순창과 김제 등에서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한 전북도의 역학조사관을 맡은 공중보건의는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로 3주 교육만 받았다. 전북도 14개 시·군은 감염병 관리를 맡은 보건소 의료진이나 직원들이 역학조사반원을 겸임하게 하는 등 메르스 방역 대책 수립과 추진 과정에서 허점을 보였다.
실제로 김제 지역 병·의원들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89번째 환자 A(59)씨를 두 차례나 보건당국에 의심 환자로 신고했으나 전북도와 김제시는 격리 대상자로 분류하지 않아 접촉자 수가 대폭 늘어나는 실수를 저질렀다. 우석병원은 지난 3일 38도 발열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A씨를 의심 환자로 간주해 방역당국에 신고했다. 그러나 보건소 역학조사반은 A씨가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역학 관계가 적다며 격리시키지 않았다. 5일에는 A씨가 입원한 한솔내과에서 김제시 보건소에 메르스 증상을 신고했지만 역시 격리되지 않았다. A씨는 자신이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환자와 관련 있음을 알고 직접 보건소에 의심 환자 신고를 하고 나서야 1차 검사를 받을 수 있었다.
이같이 시·군의 역학조사 과정과 대처가 허술해 김제 지역은 A씨와 접촉한 의료진과 가족 등 370여명이 뒤늦게 격리 조치됐다. 전북도는 A씨가 확진 판정을 받은 뒤에도 역학조사 과정에서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을 자가 격리 대상에서 빠뜨렸다. A씨가 입원했던 한솔내과는 출입구, 대기실, 접수처 등을 정형외과와 함께 쓰는 ‘한 지붕 두 병원’이지만 내과 의료진만 격리시켰다.
이에 대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인 김성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역학조사관은 전염병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첨병 역할을 하는데 대다수를 공보의로 배치한 것은 국민 건강을 너무 가볍게 판단한 것”이라며 “예산 문제도 있겠지만 전문 인력 배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철웅 전북도 메르스 방역대책상황실장도 “시·도 역학조사관을 전문성을 갖춘 정식 직원으로 배치하고 인력도 늘려야 각종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치밀한 역학조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5-06-1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