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은 ‘응급실 밖 감염’ 의혹을 불러온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가 이 병원 응급실 구역에서 메르스에 노출됐을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이 병원 정형외과 외래 진료를 받고 최근 메르스 확진을 받은 115번 환자(여·77)는 내원 당시 엑스레이 검사를 받고 잠시 응급실 구역의 화장실을 들렸다.
이 과정에서 당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던 메르스 전파자 14번 환자(35)에게 115번 환자가 직간접적으로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어 CC(폐쇄회로)TV 자료 등을 분석하고 있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14번 환자는 당시 설사 증상 때문에 화장실 출입이 잦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메르스 확진자들은 모두 14번 환자가 응급실에서 병을 옮긴 ‘응급실 안 감염’ 사례다.
그러나 외래 진료를 받은 115번 환자가 11일 확진 판정을 받자 의료계 일각에서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응급실을 넘어선 메르스 확산’이 시작됐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11일 기준 메르스 확진자가 55명으로 국내 발병 병원 중 확진자 수가 가장 많다.
연합뉴스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이 병원 정형외과 외래 진료를 받고 최근 메르스 확진을 받은 115번 환자(여·77)는 내원 당시 엑스레이 검사를 받고 잠시 응급실 구역의 화장실을 들렸다.
이 과정에서 당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던 메르스 전파자 14번 환자(35)에게 115번 환자가 직간접적으로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어 CC(폐쇄회로)TV 자료 등을 분석하고 있다고 병원 측은 전했다.
14번 환자는 당시 설사 증상 때문에 화장실 출입이 잦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메르스 확진자들은 모두 14번 환자가 응급실에서 병을 옮긴 ‘응급실 안 감염’ 사례다.
그러나 외래 진료를 받은 115번 환자가 11일 확진 판정을 받자 의료계 일각에서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응급실을 넘어선 메르스 확산’이 시작됐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11일 기준 메르스 확진자가 55명으로 국내 발병 병원 중 확진자 수가 가장 많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