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협력업체 직원 중 80명 발열 등 증상
서울시는 17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를 막기 위해 앞으로 확진환자의 동선 가운데 의료기관과 대중교통을 제외한 소규모 상점 등 정보는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모든 정보를 공개한다는 것이 서울시의 기본 원칙”이라고 전제하면서 “그러나 (확진환자가 거쳐 간) 음식점이나 마트 등을 공개했을 때 시민 불안 정서 때문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이들 소규모 상점 등은 앞으로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기획관은 35번 환자가 이용했던 음식점을 공개하면서 해당 음식점과 상가의 고객이 급감한 상황을 언급하며 “이런 작은 가게 이름까지 공개해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면 공개하는 게 맞지만 이미 소독이 완료돼 위험이 없는 데도 공개해 업체에 피해를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메르스가 병원 감염으로 전파되고 있는 만큼 환자가 거쳐 간 병원이나 약국 등 의료기관 명칭은 모두 공개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삼성서울병원 내에서 환자 이송업무를 하던 137번 환자와 관련해 현재까지 연락이 닿은 삼성서울병원 협력업체 직원 1천962명 중 기침이나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80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기획관은 “이들 중 15명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이미 확인을 해 관리하고 있던 사람”이라면서 이들의 명단을 삼성서울병원에 통보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