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메르스 현재까지 지역사회 감염 사례 없어”

서울시 “메르스 현재까지 지역사회 감염 사례 없어”

입력 2015-06-19 15:42
수정 2015-06-19 15: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확진자·자가격리자 1천680여명 사례 분석…”지나친 공포감 가질 필요 없어”봉쇄된 양천구 메디힐병원서 추가 환자 없어…23일 0시 기준 격리 해제

서울시는 19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자와 자가격리자 1천680명의 감염 경로 등을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지역사회 감염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달 20일 첫 환자 발생 이후 한 달을 맞아 혹시나 있을 지역사회 감염의 징후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민인 확진 환자 44명과 서울시민은 아니지만 서울의 병원을 거쳐 간 확진 환자 44명, 자가격리자 1천592명의 사례를 분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울시는 확진 전 마트와 패스트푸드점, 사우나 등 여러 곳을 방문했던 111번 환자와 동네 의원에서 감염됐던 147번 환자의 분석 사례를 제시하면서 이들과 관련해 능동감시나 자가격리 대상이 됐던 74명 중에도 아직 확진 환자는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 기획관은 “조사결과 감염된 가족이 다른 가족에게 감염시킨 사례도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가족보다 더 밀착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지역감염이 있으려면) 먼저 가족 감염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지역사회 감염에 대해서는 완전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이들의 잠복기가 완전히 지나지는 않은 만큼 추가로 지켜봐야 하는 점은 있다”면서도 손 씻기 등 위생에 대한 자기관리를 잘한다면 일상생활이 위축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 기획관은 강동경희대병원에서 9∼16일 혈액 투석 중 메르스에 감염된 165번 환자와 관련해 해당 기간 같은 투석실을 이용한 환자 111명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기획관은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들이라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서울 지역에서는 현재 강동경희대병원의 상황을 가장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메르스에 감염된 98번 환자가 입원해 출입이 통제됐던 양천구 메디힐 병원은 23일 오전 0시 기준으로 다시 정상 진료와 입·퇴원이 가능해지는 등 격리상태에서 해제된다.

메디힐 병원과 관련해서는 현재 118건을 검사했고 이 중 검사가 완료된 107건은 모두 음성 판정이 내려졌다.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조합설립 동의율 완화(재개발 75%, 재건축 70%)로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이 빨라지고, 정부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기준 완화로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주거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민병주 의원(국민의힘·중랑4)은 지난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빈집법) 개정안과 관련해 “그동안 지연되던 소규모 정비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서울시 모아주택이나 가로주택 정비사업에 해당하는 소규모 재개발의 조합설립 동의율을 기존 80%에서 75%로, 소규모 재건축의 경우 75%에서 70%로 낮추는 내용을 포함했다. 또한 서울시 다세대·연립주택의 베란다 샷시, 주차장 캐노피, 차양 등 소규모 위반 건축물에 부과되는 이행강제금을 감경하는 규정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에 필요한 동의자 수가 줄어들어 절차가 신속해지고, 장기 표류하던 구역의 사업 정상화0가 기대된다. 민 의원은 “동의율 완화는 주민 갈등을 줄이고, 사업비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서울시 역시 소규모 정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thumbnail -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