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는 남침? 북침?”…20대 절반 “정답 몰라”

“6·25는 남침? 북침?”…20대 절반 “정답 몰라”

입력 2015-06-22 10:02
수정 2015-06-22 1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대 남녀 절반가량은 6·25전쟁이 남침인지 북침인지 정확하게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20대 이상 남녀 1천193명을 대상으로 한국사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6·25의 성격을 묻는 말에 정답인 ‘남침’을 고른 비율은 20대 54.3%, 30대 59.6%, 40대 71.0%, 50대 이상 82.1%였다.

이번 조사는 간단한 상식 수준의 한국사 관련 객관식 문제 총 13개로 이뤄졌다.

’십만 양병설을 주장한 조선의 학자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는 20대 66.5%, 30대 72.7%, 40대 76.7%, 50대 이상 82.1%가 정답(율곡 이이)을 맞혔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몇 대 대통령인가’에 대한 정답(18대) 비율은 20대 56.6%, 30대 44.7%, 40대 48.3%, 50대 이상 75.0%였다.

4·19혁명과 5·18민주화운동 중 먼저 일어난 사건을 묻자 20대 74.2%, 30대 76.4%, 40대 86.4%, 50대 이상 92.9%가 정답인 ‘4·19혁명’을 골랐다.

한글날에 관한 질문에서 정답률은 20대 75.1%, 30대 82.6%, 40대 88.6%, 50대 이상 89.3%였다.

고려를 세운 인물을 물었을 때 정답(왕건)을 답한 비율은 20대 81.3%, 30대 81.6%, 40대 82.4%, 50대 이상 92.9%였다. 가장 많은 오답은 ‘이성계’였다.

이 밖의 질문으로는 광복 연도, 제헌절의 의미, 목화씨를 들여온 인물, 한글 탄생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기관, 서울의 과거 지명 등이 있었으며 각 연령대의 전체 정답률은 20대 77.6%, 30대 78.8%, 40대 83.8%, 50대 이상 91.5%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