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이틀 만에 숨진 173번째 환자 증상 발현 뒤 병원 6곳·약국 4곳 경유
26일 서울 강동구 상일동 K아파트.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고 이틀 만에 숨진 173번째 환자(70·여)가 이 아파트에 살았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오가는 주민도 드물었지만 만나는 사람마다 불안한 기색이 역력했다.이 아파트에 우유와 요구르트를 배달하는 김모(43·여)씨는 “다들 엘리베이터 타기도 불안해 한다”며 “아파트 상가는 손님들 발길마저 뚝 끊겨 시름만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173번째 환자가 메르스 증상이 발현된 상태에서 강동구 일대를 다닌 것으로 드러나면서 지역 사회가 비상 상황에 빠졌다. 173번째 환자는 뒤늦은 확진 판정에다 심한 폐렴 증상까지 나타나 이른바 ‘슈퍼 전파자’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당국에 따르면 173번째 환자는 지난 10일 발열 증상을 보인 후 17일 강동성심병원 선별진료소를 가기 전까지 인근 병원 5곳과 약국 4곳 등을 경유했다. 그 밖의 동선은 현재 확인 중이다. 173번째 환자는 정형외과 수술을 받기 위해 17일 강동성심병원에 입원했지만, 심한 폐렴 증상으로 20일부터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다. 보건당국은 그제서야 173번째 환자의 존재를 인지했고, 22일 확진 판정이 내려졌다.
당장 폭탄을 맞은 건 강동성심병원이다. 173번째 환자가 앞서 5일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사실을 숨기면서 대규모 인원과 접촉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폐쇄회로(CC)TV 분석 결과, 국민안심병원으로 지정된 강동성심병원에서만 173번째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2135명으로 집계됐다. 일부 병동은 지난 23일부터 폐쇄된 상황이다. 면회객도 전면 차단된 상황이다. 강동성심병원 관계자는 “부분 폐쇄에 들어간 후 새로운 환자는 전혀 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173번째 환자가 방문한 동네 병원과 약국도 모두 폐쇄됐다. 15일 다녀간 것으로 드러난 B병원과 S약국 앞에는 29일까지 문을 닫는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인근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지모(56)씨는 “원래 환자들이 많이 오던 병원인데 173번째 환자가 다녀갔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하루아침에 병원 문도 닫고 환자들도 끊겼다”며 “동네 전체가 소독약 냄새가 잔뜩 난다”고 말했다.
인근 학교들도 휴교에 돌입했다. 전날부터 강동, 송파구에서 휴교한 곳은 유치원 6곳, 초등학교 4곳, 중학교 14곳, 고등학교 2곳 등 총 26곳에 이른다.
강동구 보건소도 날벼락을 맞은 분위기다. 해당 보건소가 관리해야 할 대상만 2492명(병동격리 51명, 능동감시자·격리자 2441명)으로 폭증했다. 강동구 보건소 관계자는 “자가격리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가용 인원을 최대한 투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5-06-2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