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新노년] <5·끝> 대가족에서 길을 찾다

[100세 시대-新노년] <5·끝> 대가족에서 길을 찾다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15-08-20 23:48
수정 2015-08-21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할머니 손이 약손, 손주 재롱은 보약… 만병통치 ‘한지붕 4代’

전통 가정이 해체되고 있다. 급격한 저출산과 고령화, 핵가족화 등의 영향으로 1, 2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 10명 중 1명꼴로 혼자 사는 1인 가구 500만 시대가 열렸다. 통계청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00년 15.5%에서 올해 27.1%로 증가했고 2025년에는 31.3%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한지붕 아래 3대 또는 4대가 북적대며 생활하는 대가족은 이제 귀한 존재가 됐다. 가족 형태가 달라지면서 가족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도 바뀌고 있다. 최근 국민 4명 중 3명이 친할아버지·친할머니를 가족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런 가운데서도 가족 간의 끈끈한 정을 이어가는 모범 전통가정이 있어 만나 봤다.



이미지 확대
여영동씨 4대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다. 왼쪽부터 며느리 윤경애씨, 아들 여현석씨, 여씨, 어머니 이필석씨, 아내 강자혜씨, 큰손자 여도헌군, 손녀 여다은양. 작은손자 여승헌군은 여름 캠프에 참가해 이 자리에 없다.
여영동씨 4대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다. 왼쪽부터 며느리 윤경애씨, 아들 여현석씨, 여씨, 어머니 이필석씨, 아내 강자혜씨, 큰손자 여도헌군, 손녀 여다은양. 작은손자 여승헌군은 여름 캠프에 참가해 이 자리에 없다.








지난 12일 찾은 경북 성주의 여영동(75·벽진면 수촌2길)·강자혜(71)씨 부부 집에는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여씨 부부는 웃음소리의 원천이 4대가 오순도순 함께 사는 것에 있다고 했다.

여씨 부부 집에는 어머니 이필석(99)씨를 비롯해 아들 내외 여현석(45)·윤경애(42)씨, 손자 여도헌(16·고2)·여승헌(13·중2)군과 손녀 여다은(11·초등6)양이 요즘 보기 드문 대식구를 이루며 살고 있다. 출가한 뒤 서울에 사는 큰딸 부부 홍태승(52)·여지선(50)씨가 외손녀 홍가연(18·고3)양을 데리고 방문할 때면 집안의 웃음소리는 더욱 커진다.

3남 1녀 중 장남인 여씨의 앞집에는 둘째 동생 내외 여전동(68)·이용숙(66)씨가 산다. 마을에서 우애가 좋기로 소문난 형과 아우의 집 사이에는 담장이 없다. 주위에서는 4대도 모자라 동생네까지 함께 산다며 시샘(?)한다.

여씨는 4대가 같이 살 수 있는 게 복이라고 했다. 어른이 장수해야 하고 자식들도 기꺼이 함께 살기를 원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4대가 모여 살게 된 것은 스무 살 때 대학 공부를 위해 상경해 40년 가까이 서울생활을 하던 여씨 부부가 1997년 가을 고향으로 내려오면서부터다. 그의 나이 57살 때였다.

서울대 농대를 졸업한 여씨는 “젊은 시절부터 바라던 전원생활의 꿈을 이뤘다”고 말했다.

6~7년 뒤 서울에서 여씨의 회사 일을 돕던 아들이 며느리와 손자·손녀를 데리고 와 살림을 합쳤다. 아들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로 직장을 잃고 아버지 사업을 돕던 중 힘들어하신다는 소식을 듣고 시골행을 결심했다. 처음엔 아내가 반대했지만 결국 허락해 줘 고마웠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씨 부부는 아들 가족에 대한 걱정부터 앞섰다. 다들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탓에 농촌생활을 전혀 몰랐기 때문이다. 그래도 팍팍한 도시생활 속에 다섯 가족이 힘들게 살았을 것이란 생각에 따뜻하게 품어 줬다. 2008년엔 어머니까지 한 집에서 생활하게 되면서 4대 가족으로 불어났다.

여씨는 “아흔이 넘은 연세에도 대구에서 조카들 밥해 주시기를 극구 고집하시던 어머님이 고혈압이 악화돼 집으로 모셔왔다”며 사정을 설명했다. 당시 주변에선 다들 그리 오래 사시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부부는 언제까지일지 모르지만 자식된 도리를 다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여씨 집안은 어느새 남들이 부러워하는 단란한 가정으로 변모했다. 대가족은 바람 잘 날 없다고 하지만 여씨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엔 경북도의 ‘화목한 격대(隔代) 모범가족’으로 선정돼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여씨는 가족을 집단 공동체라고 정의했다.

“어른들만 있으면 적막강산일 텐데 아이들이 있어 사람 사는 집 같습니다. 집은 모름지기 떠들썩해야 합니다. 그래야 복도 들어옵니다. 어른들이 웃어른을 공경하면 아이들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며 함께 살아가는 게 가족입니다. 가정이 화목해야 사회도 국가도 태평해집니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란 말처럼 여씨의 집안이 화목해지자 모든 일은 저절로 풀려나갔다. 어머니는 자식들과 함께 지내자 곧 건강을 회복했다. 백수를 앞둔 요즘도 혼자서 요양원에 다니며 프로그램에 참여할 정도로 정정하다. 지난 5월에는 자녀를 비롯해 손자와 손녀, 친척과 친지 등 100명이 넘는 축하객들이 모인 어머니의 백수연에서 노래를 불러 박수갈채를 받았다.여씨의 아내는 “어머님은 귀가 조금 나쁘실 뿐 기억력은 젊은이들 못잖다”고 귀띔했다.

여씨는 사업에 여념이 없고 아내는 7년 전부터 노인회관에서 운영하는 스포츠댄스와 장구반 활동 등을 하는 재미에 푹 빠져 산다. 부부는 바쁜 가운데도 집안일을 마다치 않는다. 서로 돕고 사는 게 가족이기 때문이란다.

아들은 읍내 섬유회사 간부이며, 계명대 일본어 통·번역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며느리는 1인 7역을 하는 맹렬 여성이다.며느리는 “주위에서 힘들어 어떻게 사느냐고 하지만, 정작 힘들거나 불편한 것은 없다. 오히려 가족들이 많이 도와주고 성원해 줘 언제나 힘이 나고 즐겁다”며 환하게 웃었다. 그녀는 또 “우리 아버님, 어머님은 바른 생활교과서이시다. 정말 흠 잡을 데 없는 훌륭하신 분들”이라며 추켜세웠다.

손자·손녀들은 시골로 전학온 뒤 학원 근처에도 가본 적이 없지만 공부를 곧잘 한다. 교육방송 EBS가 그들의 학원이고 가정교사이다. 큰손자는 “저는 경북대에 진학해 무역 관련 공부를 하고 싶다. 남동생은 변호사, 여동생은 화가가 꿈이다”고 소개했다.

여씨의 거실을 나서려다 벽면에 걸린 ‘사랑, 존경‘이란 꽃말을 가진 붉은 카네이션이 시선을 잡아끌었다.

글 사진 성주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5-08-21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