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기억 숲’에 12세 소녀 시절 풍경 담는다

위안부 피해자 ‘기억 숲’에 12세 소녀 시절 풍경 담는다

입력 2015-09-03 15:27
수정 2015-09-03 18: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 ‘소녀들을 기억하는 숲’ 착공

‘소녀들을 기억하는 숲’ 착공 연합뉴스
‘소녀들을 기억하는 숲’ 착공
연합뉴스


어느 따스한 날, 12세 소녀가 마루에 걸터앉아 바라보는 마당의 모습은 어떨까.

3일 서울 상암동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에서 공사를 시작한 은 12세 소녀가 햇볕이 따스한 마루에 앉아 마당을 바라봤을 때 볼 수 있는 풍경을 주제로 삼았다.

숲의 설계 및 조성을 맡은 가든 디자이너 황지해 작가는 “최연소인 12세 때 위안부 생활을 시작한 할머니를 기억하자는 뜻에서 주제를 정했다”며 “사람들이 이곳을 할머니들이 소녀 시절에 만들어 놓은 정원이라고 생각하면서 계속해서 할머니들을 기억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황 작가는 정원을 나비가 좋아하는 다채로운 식물들과 우리 자생종으로 꾸밀 계획이다.

한쪽에 모든 사람들이 햇볕을 동일하게 받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20∼25m짜리 담장을 설치하고, 정원 다른 편에는 김순덕, 김복동 등 위안부 할머니들이 직접 그리신 수채화 및 압화 등을 전시할 계획이다.

할머니들의 족적을 남기기 위해 발 모양을 음각해서 바닥에 매입하고, 담장과 창틀, 돌들 사이에 머리빗과 손거울 등 할머니들을 기억하게 할 수 있는 물건을 놓아둘 계획이다.

황 작가는 “할머니들이 소녀 시절 주로 입었던 검정치마와 흰저고리, 검정고무신을 정원의 이정표로 삼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선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를 찾아 드리는 일을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할 수 있어 가슴이 벅찬다”며 “이 곳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기억하게 할 수 있는 위로와 격려의 정원이 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는 “좋은 장소에서 우리를 기억하게 해주니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길원옥 할머니와 참석자들은 삽으로 ‘소녀들을 기억하는 숲’의 첫 나무인 반송에 흙을 날랐다. 길원옥 할머니는 자신의 이름을 메모지에 적어 반송에 걸었다.

이 숲 조성을 위해 365mc 비만클리닉,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트리플래닛, 마리몬드 등이 크라우드펀딩(nabiforest.org) 방식으로 5천여만원을 모았다. 숲 조성을 위한 모금은 이달 말까지 계속된다.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준공식 참석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국민의힘, 동대문구1)이 22일 청량중학교(동대문구 왕산로 301)에서 열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민간투자사업(BTL) 준공식’에 참석했다. 청량중학교(교장 박태인)는 1951년 개교 후 70여년만인 지난 2021년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 대상학교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교육과정 변화와 학생들의 요구 등을 통한 창의적인 설계를 반영하여 2023년 7월~2025년 7월 약 2년에 걸쳐 교사동 신축,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 등 약 1만 3246.28㎡ 규모로 공사를 준공하게 됐다. 이날 준공식에는 서울시의회 이병윤 교통위원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정근식 교육감, 이필형 동대문구청장과 청량중 교장 및 학부모, 학생, BTL 시행사 등이 참석했으며 준공건물 시설탐방, 준공식, 테이프 커팅식 등 기념행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 위원장은 준공식 축사를 통해 “서울시 최초로 추진된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BTL 사업 공사 과정에서 교장 선생님 이하 교직원, 학생, 학부모 협조 등을 통해 사업이 원만히 마무리됐다는 점에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서울시의회 차원에서도 동대문구의 노후화된 학교시설을 개
thumbnail -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 청량중학교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준공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