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하나고 ‘입시부정 의혹’ 수사 착수

검찰, 하나고 ‘입시부정 의혹’ 수사 착수

입력 2015-11-19 15:08
수정 2015-11-19 15: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찰이 서울시교육청 감사에서 드러난 은평구 하나고등학교의 입시 부정 의혹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서부지검은 최근 시교육청으로부터 하나고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하고 형사5부(손준성 부장검사)에 사건을 배당해 수사하도록 했다고 19일 밝혔다.

하나고는 하나금융그룹의 학교 법인인 하나학원이 2010년 은평구 진관동에 설립한 자율형 사립고다.

피고발인은 김승유 하나학원 이사장과 이 학교 교장, 교감 등 10명이다. 이들은 업무상 횡령·배임, 업무방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고발됐다.

검찰은 시교육청으로부터 감사 자료를 넘겨받아 사건의 개요를 파악하고 관련자들을 차례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하나고는 남학생 합격자 비율을 높이고자 입학전형에서 합격선에 미달한 학생들에게 ‘보정점수’를 줘 등수를 높인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고는 2010년부터 최근까지 하나금융그룹 임직원들의 출자로 설립된 시설관리 회사에 100억원 상당의 학교 관리 사업을 수의계약으로 몰아준 사실도 적발됐다.

교사를 신규채용할 때 공개채용을 하지 않고 학교에 근무하던 기간제 교사를 근무평점과 면접만으로 정교사로 전환한 점도 감사에서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하나고도 “교육청이 일부 교사의 일방적인 폭로를 바탕으로 편파 감사를 벌여 자사고 죽이기에 나섰다”고 반발하면서 법적 대응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이차전지 폐기물, 위험에서 미래 자원으로”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구3)이 주관한 ‘이차전지 폐기물의 관리 방안 및 향후 과제’ 정책토론회가 지난 17일 의회별관2동 제2대회의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전기차·가정용 전자제품·ESS의 확산으로 폐이차전지 발생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안전·환경·자원순환 측면에서 어떤 선제 대응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 대안을 모색한 자리였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이 의원이 발의한 ‘서울시 폐기물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차전지 폐기물 관리 조항 신설)’의 후속 정책 논의라는 점에서 정책적 의미가 컸다. 이 의원은 개회사에서 “이차전지 폐기물 문제는 더 이상 기술적·환경적 이슈에 머무르지 않는다”며 “서울의 안전, 자원 안보, 미래 산업 경쟁력까지 좌우하는 핵심 의제인 만큼 선제적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의회 김인제 부의장, 성흠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임만균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장이 축사를 통해 토론회의 필요성과 서울시 차원의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발제는 두 개 분야로 진행됐다. 정미선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장은 ‘서울시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 방안 및 국내 동향’ 주제로 전용 안심수거함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이차전지 폐기물, 위험에서 미래 자원으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