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 民資 고속도로 2025년 74분이면 달린다

서울~세종 民資 고속도로 2025년 74분이면 달린다

류찬희 기자
입력 2015-11-19 23:10
수정 2015-11-19 23: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9㎞ 6차로… 내년말 착공

2023년부터는 경부축 수도권 고속도로의 상습 지·정체가 어느 정도 해소될 전망이다. 정부는 19일 제22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오는 2025년까지 서울과 세종을 잇는 민자고속도로를 건설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경부·중부고속도로 중간을 따라 서울 강동구, 경기도 하남·성남·광주·용인·안성, 충남 천안을 거쳐 세종시 장군면 당진~대전고속도로 서세종인터체인까지 129㎞가 6차로로 건설된다. 지·정체가 심각한 서울∼안성 1단계 구간(71㎞)은 2022년 개통되고 안성∼세종 2단계 구간(58㎞)은 2025년 완공된다. 서울∼세종고속도로가 건설되면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서 정부세종청사까지 걸리는 시간이 평일 1시간 48분, 주말 2시간 9분에서 1시간 14분으로 단축된다.

이 고속도로는 2009년 타당성 검토에서 비용 대비 편익비율(B/C)이 1.28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기본계획도 수립돼 1단계 공사의 경우 내년 초 기본설계를 시작하고 연말쯤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단계 구간 공사는 시급성을 감안해 한국도로공사가 먼저 착수하고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안성∼세종 2단계는 기존 민자도로 건설과 마찬가지로 제안서를 받아 사업자를 선정하고 2020년에 착공, 2025년 완공할 예정이다.

건설비용은 6조 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 중 정부가 용지비 1조 4000억원을 부담하고 건설비 5조 3000억원은 100% 민자로 조달한다. 통행료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리스크를 분담하는 ‘손익공유형 민자사업’(BTO-a) 방식으로 추진한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1-2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