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월급도 못 줘”…누리예산 갈등에 유치원만 ‘발동동’

“교사 월급도 못 줘”…누리예산 갈등에 유치원만 ‘발동동’

입력 2016-01-17 10:59
수정 2016-01-17 1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누리예산 90% 이상 인건비, 25일 이전 지원돼야”

“학부모들이 아이들을 못 보내겠다고 하는데 저희는 교사 월급도 못 줄 지경이어서 힘들어요”

유치원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이 전액 삭감된 광주의 한 유치원 원장은 17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괴로운 심경을 토로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신입 원아를 모집한 이 유치원에는 광주시의회에서 누리과정 예산이 전액 삭감된 이후 학부모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누리과정 예산이 정상적으로 지원됐다면 이미 15일을 전후로 원아 1명당 육아학비 22만원과 방과후 과정비 7만원 등 29만원이 들어와야 했지만, 예산이 삭감되면서 이날까지 감감 무소식이다.

유치원들은 누리과정 예산을 지원받으면 90% 이상을 정교사와 보조교사, 방과후 강사 등의 인건비에 쓰고 있어 월급날인 25일 이전에 해결되지 않으면, 교사들의 월급조차 줄 수 없게 된다.

문을 닫지 않으려면 빚이라도 내서 운영해야 하지만 한 달 인건비만 수천만원에 달해 이마저도 쉽지 않다.

한 유치원 원장은 “하루에도 2~3명의 학부모들이 아이를 어린이집에 더 다니게 하고 싶다거나 그냥 집에 데리고 있겠다는 전화가 온다”며 “학부모들도 힘들겠지만, 유치원 교사들은 몇배 더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학부모들에게 유치원은 무상 교육이 원칙이므로 육아비를 부담시킬 일은 없다고 안심시키고는 있지만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가 됐던 교육청이 됐던 먼저 집행하고 나중에 예산을 채워넣더라도 당장 파국은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리과정 예산이 한 푼도 책정되지 않은 어린이집도 불안감은 마찬가지다.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은 15일께 학부모가 아이행복카드로 결제를 하면 보통 50일 이내에 시에서 카드사에 돈을 주는 방식이어서 유치원과 달리 다소 시간적인 여유는 있다.

그러나 교육청이 ‘보육은 정부의 책임’이라며 예산 자체를 세우지 않아 당장 다음 달부터가 문제가 된다.

무엇보다 정원도 채우지 못한 어린이집이 많아 예산 지원이 끊기면 당장 교사들 인건비를 줄 수 없게 된다.

정원이 100% 차야 겨우 교사들 월급을 주고 어린이집을 운영할 수 있지만, 정원 충족률도 70%대를 맴도는 상황에서 누리과정 문제까지 터져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 어린이집 원장은 “교육감이 의지만 있다면 추경이라도 해서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며 “어린이집 교사들은 오직 아이들을 위해 보육에 전념하고 싶은데 예산 문제때문에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말했다.

광주에서는 유치원생 2만3천907명에게 706억원, 어린이집 원아 2만147명에 701억원 등 4만4천54명에게 지원해야 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