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의 관람료가 좌석의 위치, 시간대에 따라 세분화된다.
CJ CGV는 다음 달 3일부터 좌석·시간대별로 영화관람료를 세분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콘서트, 뮤지컬, 오페라, 스포츠처럼 좌석 위치에 따라 가격을 차등화하고, 기존 4단계였던 주중 시간대를 6단계로 더욱 세분화한 것이다. 온라인과 모바일 기반의 가족할인도 확대한다.
좌석별로는 상영관의 관람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좌석 위치를 ‘이코노미존’(Economy Zone), ‘스탠다드존’(Standard Zone), ‘프라임존’(Prime Zone)으로 구분해 가격을 차등화했다.
스탠다드존 기준 가격으로 이코노미존은 1천원 낮게, 프라임존은 1천원 높게 책정됐다.
조성진 CGV 홍보팀장은 “고객 스스로 관람 상황에 맞춰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폭을 넓혔다”고 말했다.
다만, CGV는 2014년 1월부터 시행된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가 있는 날’ 행사에는 이번 방침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인 ‘문화가 있는 날’에는 오후 5∼9시에 상영하는 영화를 5천원에 관람할 수 있다.
또 기존 사회공헌 차원에서 진행한 장애인, 노인, 국가유공자, 군인 등을 위한 할인도 그대로 이어갈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J CGV는 다음 달 3일부터 좌석·시간대별로 영화관람료를 세분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콘서트, 뮤지컬, 오페라, 스포츠처럼 좌석 위치에 따라 가격을 차등화하고, 기존 4단계였던 주중 시간대를 6단계로 더욱 세분화한 것이다. 온라인과 모바일 기반의 가족할인도 확대한다.
좌석별로는 상영관의 관람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좌석 위치를 ‘이코노미존’(Economy Zone), ‘스탠다드존’(Standard Zone), ‘프라임존’(Prime Zone)으로 구분해 가격을 차등화했다.
스탠다드존 기준 가격으로 이코노미존은 1천원 낮게, 프라임존은 1천원 높게 책정됐다.
조성진 CGV 홍보팀장은 “고객 스스로 관람 상황에 맞춰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폭을 넓혔다”고 말했다.
다만, CGV는 2014년 1월부터 시행된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가 있는 날’ 행사에는 이번 방침이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인 ‘문화가 있는 날’에는 오후 5∼9시에 상영하는 영화를 5천원에 관람할 수 있다.
또 기존 사회공헌 차원에서 진행한 장애인, 노인, 국가유공자, 군인 등을 위한 할인도 그대로 이어갈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