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공점엽·이수단 할머니 별세

위안부 피해자 공점엽·이수단 할머니 별세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6-05-17 23:02
수정 2016-05-18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은 생존자 42명으로 줄어

전남 해남에 살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공점엽(96) 할머니가 17일 별세했다. 또 중국에 사는 한국인 출신 위안부 피해자인 이수단(95) 할머니도 이날 오후 3시쯤(현지시간) 헤이룽장성 둥닝현의 한 양로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두 할머니가 세상을 떠남에 따라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42명(국외 2명 포함)으로 줄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지난해 설 무렵 뇌졸중으로 쓰러진 공 할머니가 이날 오후 5시 12분쯤 지병으로 별세했다고 밝혔다.

공 할머니는 16세이던 1935년 직업을 소개해 준다는 말에 속아 일본군 위안소로 끌려간 뒤 1943년까지 모진 고초를 겪었다. 1945년 귀국해 전남 해남 땅끝마을에서 가정을 꾸리고 힘겨운 삶을 살아왔다. 2년 동안 노환으로 병상에 있었던 공 할머니는 두 달 전부터 몸상태가 나빠져 결국 이날 숨졌다.

이 할머니는 일제강점기 고향인 평양에서 ‘공인(工人)을 모집한다’는 광고를 보고 자원했다가 위안부가 됐다. 러시아 연해주에 인접한 국경도시인 둥닝에서 위안부로 고통을 겪었다. 이 할머니는 70년 넘는 세월 동안 본인의 이름 외에 한국말을 모두 잊어버리고 말년에는 치매증세을 보이기도 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6-05-1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