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 온라인뉴스 소비자 비율 한국이 세계 1위”

“스마트폰 이용 온라인뉴스 소비자 비율 한국이 세계 1위”

입력 2016-06-21 09:47
수정 2016-06-21 09: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인 2명 중 1명은 온라인뉴스를 소비할 때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세계 26개국 중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1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와 공동으로 한국·미국·영국 등 전세계 26개국 5만3천330명을 대상으로 뉴스 소비 현황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뉴스를 소비할 때 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하는 비율은 한국이 48%로, 조사 대상인 26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스웨덴(46%), 스위스(42%) 등의 순으로 높았다.

지난 한 주간 온라인에서 뉴스를 봤다는 응답 비율은 한국이 86%로 전체 9위에 올랐다. 가장 높은 나라는 그리스(96%)였고 다음으로 체코·브라질(91%), 터키(90%) 등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신문과 잡지 등 인쇄 매체를 통해 뉴스를 접한 비율은 한국이 28%로 하위권이었다. 오스트리아(67%), 스위스(63%), 스페인(56%) 등 유럽 국가들이 인쇄 매체 뉴스 이용률이 높았다.

뉴스를 포털·검색 서비스에서 찾는다는 응답률은 한국이 60%로 26개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뉴스 소비에서 포털 이용률이 높은 나라는 터키(67%)와 폴란드(62%)였다.

언론사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뉴스를 본다는 응답은 한국이 13%로, 일본(12%)과 더불어 26개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언론사 뉴스 브랜드에 대한 한국 독자들의 인지도는 낮았다.

포털과 소셜미디어 등에서 뉴스를 볼 때 언론사 브랜드에 대해 ‘항상’ 또는 ‘거의 항상’ 인지한다는 응답 비율은 한국이 24%로 가장 낮았다. 이에 비해 독일(55%), 덴마크(50%), 미국(49%) 등은 비교적 높았다.

한국은 뉴스에 대한 신뢰도도 하위권에 속했다. ‘대부분의 뉴스를 거의 항상 신뢰할 수 있다’는 문항을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한국은 2.89점으로 프랑스(2.86점), 미국(2.85) 등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