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채집 → 희석 → 직접 맡고 악취 종류 구분

공기 채집 → 희석 → 직접 맡고 악취 종류 구분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7-24 22:30
수정 2016-07-24 23: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건환경연구원 악취 측정 “기계 부정확할 때 많아 한계”

“젖은 구두에서 나는 냄새와 흡사한데 ‘n-발레르산’이나 ‘지방산류’ 쪽인 것 같군요.”

이미지 확대
악취 공해 관련 민원이 급증하는 가운데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의 한 지역에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대기화학과 직원들이 각종 특수 장비를 이용해 악취를 채취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악취 공해 관련 민원이 급증하는 가운데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의 한 지역에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대기화학과 직원들이 각종 특수 장비를 이용해 악취를 채취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지난 22일 경기 과천시에 있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3층 대기화학팀 연구실에서 악취 판별요원인 김영두 연구사가 양재천에서 ‘이동식 악취시료 채취 차량’으로 채집해 온 공기를 코로 맡고는 악취의 종류를 이렇게 판별했다.

“석유정제·가스·약품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메틸메르캅탄은 썩은 양배추 냄새가 납니다. 석유화학업체나 약품 셀로판 제조업체, 분뇨처리장에서 주로 생기는 황화수소에선 계란 썩는 냄새가 나죠. 사실 악취마다 그 정도를 재는 기계가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의 악취는 복합적으로 섞여 있고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기계 측정이 오히려 부정확할 때가 많습니다. 결국 사람이 해야죠”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근무하는 악취 판별요원은 총 5명이다. 3단계 시험을 통해 선발된 직원들이다. 김 연구사는 현장에서 채집한 악취의 일부를 주사기에 담아 비닐팩에 옮긴 뒤 10배의 순수한 공기를 주입하고 냄새를 분석했다. 그다음 순수한 공기의 양을 20배로 늘려서 냄새를 평가했고, 다시 공기를 30배로 늘린 뒤 냄새를 맡았다. 그제야 악취를 느끼지 못했다.

옆에 있던 정종흡 팀장은 “만일 판별요원 A가 5배에서 악취를 맡지 못하고 3명은 10배까지 악취를 맡았으며 B는 20배까지 악취를 느꼈다면, 가장 악취를 못 느낀 A와 가장 심하게 느낀 B를 제외한 3명의 평균으로 계산해 악취 정도를 ‘10배’로 산출한다”고 설명했다.

양재천은 관리 차원에서 악취를 채취했지만 대규모 공장의 경우 15배 이상 순수한 공기를 섞어도 악취가 나면 규정 위반이다. 판별요원이 구분하는 악취는 썩은 생선 냄새가 나는 트라이메틸아민, 과일향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도시가스 냄새의 스타이렌 등 악취방지법에서 지정한 22개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7-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