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대표 “전두환과 ‘만남의 조건 섭외 중’이었다”

추미애 대표 “전두환과 ‘만남의 조건 섭외 중’이었다”

입력 2016-09-27 15:44
수정 2016-09-27 15: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 전 대통령, 5·18 희생자 가슴앓이 모르는 채 죽어서는 안 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전두환 전 대통령의 만남에는 ‘조건’이 논의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추미애 대표는 27일 전주의 한 음식점에서 전북도의회 출입기자들과의 오찬자리에서 “전 전 대통령이 5·18 묘역을 가려다 워낙 반발이 심해 못 갔기 때문에 ‘(제가) 모시고 갈 테니 (전 전 대통령이 거기서) 참회·사과하시라’하고 싶었다”며 “그게 만남의 조건이었고, 그것을 섭외 중이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언론에 (배경은 무시된 채) 만난다는 것만 알려지고, 이후 제대로 말할 기회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추 대표는 “자기 죄를 알고 죽는 거 하고 모르는 채로 죽는 거 하고는 너무 다르지 않으냐”며 “피해자만 따로 가슴앓이를 하는 것 하고, 가해자가 피해자의 가슴앓이를 알고 참회하며 죽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이라고 부연했다.

그래서 전 대통령을 (5·18 묘역에 모시고 가서) 무릎 꿇고 참회·사죄를 시키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전 대통령 예방에는 ‘동서통합’이라는 취지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자신을 불구로 만든 정적들을 향해 지팡이를 휘두르거나 응징하지 않고 (정적들을) 일으켜 세우는 용서와 화해의 도구로 지팡이를 썼듯이 전 전 대통령을 만나려 한 것도 동서화합·통합을 위한 것”이라는 소회를 더했다.

그러면서 “당 대표로서 미리 동서화합·통합을 해 놓으면 선거 때 (호남 태생의 더민주가) 수세에 몰리지 않을 것 아니냐. 그러면 우리 후보들이 뛰는데 더 쉽지 않으냐”며 전 전 대통령 예방계획에 대한 의도를 설명했다.

추 대표의 이런 발언은 오찬에 동석한 김생기 정읍시장의 ‘(결국 불발로 끝난) 전 전 대통령을 예방하려 한 것은 잘못된 것 아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다.

추 대표는 이에 앞서 이날 오전 송현섭·양향자·김춘진 최고위원 등 지도부와 함께 전북 김제에서 갈아엎어진 논을 둘러보고 지역 농민들과 쌀값 대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