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고급 아파트 단지의 상징이었던 서울 압구정 지구가 단순 재건축 대신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정비된다. 30~40년 된 낡은 아파트만 새로 짓는 데 그치지 않고 주변 상업시설과 도로, 교통시설까지 연계해 종합적으로 손본다는 의미다. 하지만 강남구가 ‘재개발 일정이 지연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나서 추진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시는 애초 ‘개발기본계획’에 따라 관리하던 압구정 아파트 지구를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단순히 아파트 단지 재건축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인근 상업지역까지 함께 정비하는 게 지역 활성화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는 보고 지구단위계획으로 바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압구정 미성·현대·신현대·한양아파트 등 1만여 가구와 현대백화점 본점, SM 본사, 갤러리아 명품관 등을 지구단위계획으로 묶어 정비에 나선다. 시는 오는 13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압구정 아파트 지구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 및 계획결정안’을 주민 공람공고해 주민 의견을 받는다.
또 압구정 아파트 지구 24개 단지를 6개 구역으로 나눠 구역별 통합 재건축을 유도하기로 했다. 아파트 단지에 있던 상가들을 거리로 끌어내 미성~신현대~구현대(현대6~8차)~한양아파트 대로변을 따라 약 3㎞에 ‘스트리트형 상가’를 조성하기로 했다. 최고 층수 제한에 대해서는 35층 이하로 제한하기로 했다.
강남구는 서울시의 방침에 대해 즉각 반발했다. 구 관계자는 “압구정 관리계획이 지구단위계획으로 바뀌면 교통·환경영향평가 등을 추가로 받아야 해 재건축 시행 시점이 1년 이상 늦춰질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