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노후화 심각…1∼4호선 열차 절반 20년 넘어

서울 지하철 노후화 심각…1∼4호선 열차 절반 20년 넘어

입력 2016-10-11 10:54
수정 2016-10-11 1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임수송 손실 작년 3천억대…전동차·시설물 개선 등 위한 국비지원 ‘0’

서울 지하철 1∼4호선의 전동차 2대 중 1대는 20년이 초과하는 등 노후화했지만 국비 지원이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윤영일(국민의당) 의원은 11일 서울시 국정감사를 앞두고 낸 보도자료에서 서울메트로 전동차 1천954대 중 1천184대(61%)가 20년을 초과했으며 25년 초과는 268대로 14%에 달한다고 밝혔다.

1호선은 25년 초과 전동차가 40%에 이르고 2호선 17%, 3호선 12% 등이라고 지적했다.

윤영일 의원은 “메트로가 2020년까지 노후차량 484대를 교체하는 데 드는 재원이 6천억원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재원 마련에 문제가 없는가”라고 물었다.

최인호(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보도자료에서 2호선에서 기대수명을 초과한 차량 268대 중 145대(54.1%)가 운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량 53.1%, 터널 44.5%가 30년이 지났고 광전송설과 전구형 신호기는 100%, 전선로(60.1%), 변전설비(50.0%)도 내구연한을 넘겼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서울시가 2011년부터 노후시설 재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국토교통부에 국비 지원 요청을 했고 작년과 올해 예산 편성시 국토부가 예산을 신청했지만 기획재정부에서 전액 삭감, 지원이 되지 않았다”며 “지하철 노후시설 방치는 국민 안전을 방치하는 것이므로 정부는 조속히 재정지원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규백(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보도자료에서 서울시 지하철 무임수송 손실이 작년에만 3천154억원인데 정부 지원은 0원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정부 정책 일환으로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에 지하철 이용료를 면제해주고 있으며 작년에 무임수송 인원이 2억 5천만명으로 전체 이용자의 14%였다.

안 의원은 “고령화 추세 등으로 인해 앞으로 무임수송 감면액 증가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므로 정부 국고지원 등 보완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