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관적인 사람이 행복할까, 행복한 사람이 낙관적일까. 17일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최종안 박사팀이 한국심리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낙관적이면 더 행복해 질수 있지만, 행복하다고 더 낙관적인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연구팀은 서울 소재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1년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 긍정과 부정의 정서 경험 등을 물었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를 합한 값에서 부정 정서를 뺀 주관적 안녕감(행복을 느끼는 정도)과 행복간의 관계를 규명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낙관성과 행복은 상관관계가 크지만 낙관성이 행복의 원인이 되는 방향으로만 인과관계가 유의미하다는 것이 반복적으로 검증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낙관성과 행복의 인과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한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낙관성에 대해 부정적인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이 일시적이고 그 사건에만 한정되며 자신과는 관련이 없는 외부 요인들로 설명하는 성향, 미래에 자신에게 좋은 일들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는 성향이라고 정의했다. 또 행복도를 측정하고자 현재 순간에 느끼는 기분이나 특정 상황에서 느끼는 정서가 아닌 평소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 부정 정서를 물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연구팀은 서울 소재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1년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 긍정과 부정의 정서 경험 등을 물었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를 합한 값에서 부정 정서를 뺀 주관적 안녕감(행복을 느끼는 정도)과 행복간의 관계를 규명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낙관성과 행복은 상관관계가 크지만 낙관성이 행복의 원인이 되는 방향으로만 인과관계가 유의미하다는 것이 반복적으로 검증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낙관성과 행복의 인과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한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낙관성에 대해 부정적인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이 일시적이고 그 사건에만 한정되며 자신과는 관련이 없는 외부 요인들로 설명하는 성향, 미래에 자신에게 좋은 일들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는 성향이라고 정의했다. 또 행복도를 측정하고자 현재 순간에 느끼는 기분이나 특정 상황에서 느끼는 정서가 아닌 평소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삶의 만족도와 긍정, 부정 정서를 물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