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박근혜 대통령 표지판 잇단 훼손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박근혜 대통령 표지판 잇단 훼손

입력 2016-11-21 09:20
수정 2016-11-21 15: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정농단 여파…박 전 대통령 기념행사 규모도 감소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영향으로 박근혜 대통령 생가터 표지판과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훼손이 잇따랐다.

대구 중부경찰서는 21일 박 대통령 생가터에 설치한 표지판을 훼손한 혐의(재물손괴)로 백모(50)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백씨는 18일 오전 2시께 대구 중구 삼덕동에 있는 박근혜 대통령 생가터 표지판에서 박 대통령 모습과 생가 안내 글을 붉은색 래커로 지웠다.

그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과 관련해 불만을 품고 술에 취해 범행을 저질렀다.

이 표지판은 대구 중구가 2013년 2월 박 대통령 취임을 기념해 설치했다.

박 대통령은 1952년 2월 이곳에서 태어나 살다가 이듬해 서울로 이사했다.

도시개발로 생가터에는 상가가 들어섰다.

경북 구미경찰서는 21일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에 ‘독재자’라고 스프레이를 뿌린 혐의(재물손괴)로 대학생 A(19)군을 붙잡아 조사하고 있다.

A군은 지난 4일 새벽 3시 17분께 구미시 상모동 박 전 대통령 생가 옆 공원에 있는 동상, 기념 시비 등 3곳에 붉은색 스프레이를 뿌려 훼손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경찰 조사에서 “역사책을 보다가 박 전 대통령이 일본강점기에 천황에게 굴복하고 이후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는데도 동상을 세워 찬양하는 점을 참을 수 없었다”고 진술했다.

박 전 대통령 동상은 2011년 박정희대통령동상건립추진위원회가 성금 6억원과 시·도비 6억원으로 건립했다.

박 전 대통령 생가보존회 측은 구미 동상에 있는 낙서를 바로 지웠고 대구 중구는 훼손된 표지판을 즉시 철거했다.

지난 14일 새벽에는 누군가 구미 금오공대 본관 교훈석에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전단 4장을 붙였다.

전단은 교직원이 출근하기 전에 사라졌다.

대학은 지난해 5월 개교 35주년을 맞아 박 대통령이 직접 쓴 교훈 글씨를 돌에 새겼다.

박정희 전 대통령과 관련한 행사도 국정농단 의혹 영향으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열렸다.

14일 구미 박 전 대통령 생가에서 열린 ‘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99주년 숭모제’에는 예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500여명만이 참석했다.

행사장에서는 시민이나 민주노총 노조원이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피켓 시위를 벌였다.

지난달 26일 구미에서 열린 박 전 대통령 서거 37주기 추도식에도 예년의 절반이 안 되는 400여명만 참가했다.

내년에 열릴 예정인 ‘박정희 전 대통령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규모를 놓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13억9천만원을 들여 기념동산 조성, 뮤지컬 ‘독일아리랑’ 초청 공연 등 13개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구미시는 애초 계획한 사업 가운데 일부를 추려 축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미참여연대와 구미YMCA 등 구미 사회·노동단체는 “사업 예산 규모가 크고 시민 갈등과 반목만 조장한다”며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