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대생들 ‘취업 장애물은 인맥’…문화·예술직 선호”

“서울 여대생들 ‘취업 장애물은 인맥’…문화·예술직 선호”

입력 2016-11-27 11:19
수정 2016-11-27 1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 여대생 500명 설문 조사

서울에 사는 여대생들이 가장 일하고 싶은 분야는 문화·예술관련직이며 취업 장애물로는 인맥과 스펙이 꼽혔다.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은 서울 거주 여대생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설문 조사한 결과 원하는 분야 취업 시 장애물이 ‘인맥’이란 응답자가 27.8%로 가장 많았다고 27일 밝혔다.

이어 ‘자격증 및 어학능력’ 26.5%, 학력 24.6%, 성차별 17.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보면 강북서는 인맥(29.1%)이 가장 많았고 강남동은 학력(30.9%), 강북동과 강남서는 자격증 및 어학능력(29.3%, 27.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전공별로는 인문·사회와 예체능은 인맥(27.1%, 43.5%)을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답했으며 자연공학과 의학·보건은 자격증 및 어학능력(32.6%, 37.8%)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학년별로 1학년 때는 학력(31.3%)을 가장 큰 문제로 여겼지만 4학년에는 인맥(30.9%)이 1위가 됐다.

여대생들이 일하고 싶은 분야로는 문화·예술 관련이 52.6%로 가장 인기였고 이어 경영·회계·사무 관련(47.8%), 교육·연구 관련(44.0%), 디자인·방송 관련(33.6%)이 뒤를 이었다.

취업준비 시 사회적으로 필요한 도움으로 경제적 지원이 35.8%로 가장 많았고 기업체 인턴기회가 26.5%, 직업훈련·교육프로그램 제공이 20.7%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이 청년여성의 취업과 경력개발 지원을 위해 29일 이화여대에서 개최하는 ‘2016년 제2회 여성일자리비전포럼’에서 발표된다.

이 포럼에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신선미 여성고용인재연구실장이 청년여성의 취업준비활동 실태와 문제점을 통해 경력개발 장애요인을 진단한다.

또 여학생들이 재학 중 학업성취와 취업준비활동 모두 우수한 성과를 보이지만 졸업 후 취업 기회가 적은 점이나 20대 후반부터 육아 등을 이유로 경력단절 현상이 여전한 점을 들어 여학생에게 특화된 취업지원-경력개발 프로그램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밖에 실제 취업지원 교육 프로그램과 대학 경력개발센터 운영사례, 기업체의 취업프로그램 운영사례가 공유된다.

서미경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장은 “청년층 취업에도 성별 격차가 존재해, 청년여성은 양질 일자리를 갖기 더욱 어려운 상황”이라며 “청년여성이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직종개발부터 관련 교육프로그램 제공 등 지원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