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5년 2개월 민선 최장수 서울시장 기록 세워

박원순, 5년 2개월 민선 최장수 서울시장 기록 세워

입력 2016-12-22 09:16
수정 2016-12-22 09: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선행보속 지지율 답보상태 타개위해 부심중

박원순 서울시장이 22일로 1천884일을 채우며 민선 최장수 서울시장 재임 기록을 세웠다.

이미지 확대
밝은 표정의 박원순 시장
밝은 표정의 박원순 시장 박원순 서울시장이 1천884일을 채우며 민선 최장수 서울시장 재임 기록을 세운 22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2016년 4분기 직원정례조례에서 축하 꽃다발을 받은 후 자리에 앉고 있다.
연합뉴스
2011년 10월 27일 재보선에서 서울시장으로 선출된 이래 2014년 재선을 거쳐 약 5년 2개월간 서울 시정을 이끌었다.

전임 오세훈 시장이 무상급식 관련 갈등으로 스스로 물러나기 전에 세운 기록을 깼다.

연속 임기를 기준으로 하면 조선시대 이래 최장수 서울시장이기도 하다.

고건 전 시장은 총 재임기간인 2천213일에 달하지만 1988∼1990년 관선 시장을 지낸 뒤 민선 2기(1998∼2002년)에 다시 재임했다.

관선 최장수 시장은 구자춘 제16대 시장(1천572일)이다. 최단명 시장은 자택 그린벨트 훼손 시비로 부임 7일 만에 퇴임사를 읽은 제26대 김상철 시장이다.

박 시장은 현재 내년 대선을 겨냥한 행보를 계속중이다.

탄핵 정국에서 지지율이 4%대에 머물며 답보 중이지만 박 시장은 걸음을 멈추지 않고 있다.

최근 야권 텃밭인 광주를 찾아 호남 표심 잡기에 나서는가 하면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비문(문재인) 의원 등을 중심으로 세몰이를 했다. 밤마다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을 만나는 일도 계속 하고 있다.

20일에는 국회에서 비문(문재인) 민주당 의원 78명이 공동주최하는 토론회에서 ‘불평등과의 전쟁선언: 위코노믹스(Weconomics)’를 주제로 발제하며 사실상 대권구상을 밝혔다.

박 시장은 재벌개혁을 포함한 포용적 성장론을 주창했다.

노동권 강화를 위해 비정규직 절반으로 축소, 최저임금 1만원으로 올리고, 노동조합 조직율 30%로 상향, 공공부문 100만개 일자리 창출 등을 말했다.

또, 아동수당, 청년수당, 실직수당, 장애수당, 기초연금 등 생애주기에 맞춘 기본소득을 제안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