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 길면 치아상실 위험 1.8배”…칼슘섭취 중요

“모유수유 길면 치아상실 위험 1.8배”…칼슘섭취 중요

입력 2017-01-31 07:02
수정 2017-01-31 07: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성모병원, 폐경여성 4천211명 분석결과

모유 수유 기간이 긴 여성은 폐경 후 치아가 소실될 위험도가 높은 만큼 수유기에 칼슘섭취 등 각별한 치아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치주과 박준범·고영경 교수팀은 2010∼2012년 사이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폐경 여성 4천211명을 대상으로 모유 수유 기간과 남아있는 치아 개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갱년기’(Maturitas) 최근호에 발표됐다.

논문을 보면 모유를 25개월 넘게 먹인 여성그룹의 경우 폐경 후 치아가 28개 모두 남아있는 비율이 6.7%에 그쳤고 8개 이상 치아가 빠진 비율은 55.2%나 됐다. 치아가 절반 이상 빠진 여성도 40.2%에 달했다.

이와 달리 모유 수유 기간이 6개월 이하로 상대적으로 짧았던 여성은 치아가 28개 모두 남아있는 비율이 32.8%로 매우 높았으며, 8개 이상 빠진 비율도 20%에 그쳤다.

모유 수유 기간이 7∼12개월, 13∼24개월인 경우도 20개 이하 잔존치아 비율이 각각 25.1%, 46.2%로 25개월 이상 모유 수유 그룹보다 치아 상태가 양호했다.

연구팀은 모유 수유 기간에 따른 1개 이상의 치아 상실 위험도가 모유를 아예 먹이지 않은 여성그룹과 비교했을 때 25개월 이상 1.83배, 13~24개월 1.14배, 7~12개월 1.16배 등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수유 기간이 6개월 미만으로 짧은 여성그룹은 모유를 수유하지 않은 그룹보다 오히려 폐경 후 치아 상실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준범 교수는 “일반적으로 폐경 후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칼슘 흡수가 낮아져 치아 상실 위험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우리나라 폐경 후 여성에서도 수유가 치아 상실의 위험지표로 확인된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병원 산부인과 최세경 교수는 “수유는 아이나 산모 모두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수유기에는 평소보다 칼슘이 50% 정도 더 필요하다”면서 “수유기에 칼슘이 풍부한 우유, 치즈, 콩, 두부, 멸치 등의 음식이나 칼슘 영양제를 섭취하는 게 출산 후 여성의 치아건강은 물론 전반적인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