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상위 1%, 국민 소득의 14% 가져간다

[단독] 상위 1%, 국민 소득의 14% 가져간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2-05 22:22
수정 2017-02-05 2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동연구원 최상위 소득 보고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소득을 올리는 상위 1% 이상 소득자가 20세 이상 국민 소득의 1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금융·사업소득으로 한 해 1억 2670만원 이상을 버는 고소득자 1명이 14명 몫의 소득을 점유한다는 의미다. 2000년 이후 최고소득자 소득점유율은 해마다 증가해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5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15년까지의 최상위 소득 비중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 소득자의 전체 소득 내 비중은 2000년 9.0%에서 2015년 14.2%로 높아졌다. 이들의 총소득은 같은 기간 32조 8008억원에서 73조 4756억원으로 2배 이상 규모로 늘었다. 상위 1% 고소득자 수는 3만 2655명에서 3만 8670명으로 증가했다. 2014년 기준으로 소득이 상위 0.1% 이상인 최상위 소득집단은 기업 관리자(26.3%), 의료 종사자(25.2%), 사업주(12.7%), 금융 소득자(12.5%), 금융 종사자(7.2%)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이들의 연평균 소득은 8억 110만~13억 5240만원으로 분석됐다.

상위 10% 소득자 비중도 이 기간 36.4%에서 48.5%로 늘었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는 증가폭이 줄어 5년 동안 2.1% 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0년대 상위 10% 이상 소득 비중은 미국이 50%로 가장 높고 일본(42%), 영국(39.1%), 프랑스(30.5%), 스웨덴(30.7%) 순이었다. 상위 1% 이상 소득 비중은 미국(21.2%), 영국(12.8%), 일본(10.5%) 순으로 나타났다. 홍민기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에서는 최상위 1% 집단의 소득 증가 문제보다는 중간 이하 저소득층의 소득 부진 문제가 더 크다”고 설명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2-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