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 사이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 여성의 비율은 다소 감소했지만 경력단절 경험 유무에 따른 임금 소득 격차는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결혼보다는 임신·출산 후에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비율이 크게 늘었다. 기혼 여성 2명 중 1명꼴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여성가족부는 21일 만 25~54세 여성 48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법에 따라 2013년 처음 시행된 이 조사는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현황과 사유, 정책수요 등을 파악하기 위해 3년마다 실시된다.
경력단절을 경험한 기혼 여성을 뜻하는 이른바 ‘경단녀’(경력단절여성)의 비율은 48.6%로 3년 전(57.0%)에 비해 감소했다. 경력단절 사유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2013년에는 경단녀 10명 중 6명이 결혼 후 경력단절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지만, 지난해 조사에서는 경력단절 사유가 ‘임신·출산’이라는 응답 비율이 38.3%로 결혼(40.4%)과 비슷한 수준을 차지했다. 결혼 자체만으로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의 비율이 감소했다는 얘기다. ‘가족구성원 돌봄’ 때문에 경력단절을 경험했다는 응답도 2013년 4.2%에서 지난해 12.9%로 크게 증가했다. 여가부 관계자는 “인구고령화 추세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경력단절 경험 여부에 따른 취업여성의 개인별 임금 소득 격차는 3년 전에 비해 더 벌어졌다. 2013년에는 월평균 66만원이었으나, 지난해엔 76만 3000원으로 격차가 10만원 이상 더 커졌다. 경단녀의 시간당 임금을 따져 보면 1만 973원으로, 일반 취업여성의 73.9% 수준에 그친다.
경단녀가 재취업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은 8.4년으로 3년 전에 비해 2개월밖에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에 성공하더라도 상용직에서 임시직, 전일제 근무에서 시간제 근무로 옮겨가는 경향이 뚜렷했다. 경력단절 이전 81.7%였던 상용 근로자는 이후 45.4%로 줄었고, 임시 근로자는 10.4%에서 24.5%로 증가했다. 자영업자도 5.1%에서 15.2%로 늘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7-02-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