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뒤 ‘맹수’된 공포의 들개떼…가축 닥치는대로 습격

버려진 뒤 ‘맹수’된 공포의 들개떼…가축 닥치는대로 습격

입력 2017-02-23 13:32
수정 2017-02-23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옥천서 10배 큰 250㎏ 한우 잡아먹어…닭·염소도 사냥감

충북 옥천에서 들개 떼가 한우 농장을 습격, 소를 물어 죽이는 끔찍한 일이 발생했다.

주인에게 버려진 대형 반려견들이 무리지어 생활하면서 야생의 습성을 회복해 가축을 사냥하는 ‘맹수’로 돌변한 것이다.

지난 22일 오후 4시 30분께 옥천군 군서면 오동리 손모(75)씨 농장에서 개 3마리가 10개월짜리 암소 1마리를 물어 죽였다.

희생된 소는 체중 250㎏에 육박한다. 그러나 들개떼는 자신보다 몸집이 10배 이상 큰 소를 공격해 쓰러뜨린 뒤 숨통까지 끊었다. 엉덩이와 꼬리 부문이 뜯겨 나간 것을 보면 먹잇감으로 사냥한 것으로 보인다. 흡사 아프리카 초원에서나 볼 수 있던 광경이다.

달아나는 개들의 뒷모습을 목격한 손씨는 ‘진돗개 크기의 검은 개 1마리와 누런 개 2마리였고, 매우 민첩했다“며 ”다른 소 1마리도 다리 등에 이빨 자국을 낸 것을 볼 때 늑대나 다름없어 보였다“고 끔찍했던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 마을에서는 지난달 28일에도 염소와 닭이 들개로 보이는 야생동물의 습격의 받는 일이 있었다.

이곳에서 약 2㎞ 떨어진 김모(64)씨 주말농장에서 염소 3마리와 닭 5마리가 물려 죽은 상태로 발견된 것이다.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은 ”농장에 둘러쳐진 철제 울타리가 들춰져 있고, 주변에 개의 것으로 보이는 발자국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고 말했다.

들개떼 공격이 잇따르면서 주민들은 극도의 공포를 호소하고 있다.

소까지 물어 죽이는 들개떼가 사람을 공격하지 말라는 법이 있겠냐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이 마을 김영관 이장은 ”마을 뒷산에 고라니 사체가 나뒹굴 정도로 들개떼의 공격성이 강하다“며 ”주민들이 들개떼를 만날까봐 외진 곳은 출입하기를 꺼린다“고 말했다.

야생에 적응한 들개는 먹잇감을 구하는 과정에서 늑대처럼 공격성을 띠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10월에는 서울 인왕산 부근 주택가에서 주민이 키우는 새끼고양이를 들개떼가 물어 죽이는 모습이 CCTV에 찍혀 충격을 줬다.

대전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 오제영 수의사는 ”개의 조상은 이리나 자칼(jackal)로 알려졌으며, 오랫동안 사람 손에서 벗어나게 되면 어느 정도 야생성을 회복한다“며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겠지만, 약자라고 판단되는 노인이나 어린이 등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야생성을 회복해 골칫거리가 된 들개떼는 전국 여러 곳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서울에만 140마리가 넘는 들개떼가 북한산·인왕산·관악산 주변에 무리지어 생활하면서 등산객을 위협하거나 먹이를 찾아 주택가를 어슬렁거린다.

지난해 서울시가 집중포획에 나섰지만, 눈치 빠른 들개들이 포획틀에 잘 걸려들지 않고 계속 번식하고 있어 개체수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산간지역도 멧돼지와 더불어 들개떼가 활개치고 다니면서 가축이나 사람을 위협한다.

제주도가 직접 나서 해마다 ’폭군‘으로 등장한 멧돼지와 들개떼를 솎아내지만, 효과는 신통치 않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관계자는 ”들개의 경우는 멧돼지보다도 활동반경이 훨씬 넓어 개체 수나 서식실태조차 파악되지 않는다“며 ”반려동물이 버려진 뒤 야생에 적응하면 생태계에 큰 변화를 초래하므로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한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옥천군과 소방당국은 주민들을 공포로 몰아넣은 들개떼 포획에 나섰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반경이 워낙 넓고, 민첩하게 움직여 뒤를 좇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옥천군 관계자는 ”전문 엽사 등으로 구성된 유해 야생동물 기동포획단이 구성돼 있지만, 들개의 경우 유해동물로 지정되지 않아 이들을 투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며 ”마취총을 보유한 엽사들을 투입해 소를 공격한 개를 포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