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작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 12년 만에 감소율 최대

‘7.1%↓’ 작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 12년 만에 감소율 최대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7-02-26 22:12
수정 2017-02-26 2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음주운전 단속과 처벌을 강화한 결과로 보인다. 26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4292명으로, 2015년보다 7.1% 줄었다. 사망자 감소율은 2004년(9.0%)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음주운전 사망 오전 2~4시 최다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는 지난해보다 102명(17.5%) 감소했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검찰과 경찰 합동으로 음주운전 단속 및 처벌 강화 방안을 시행하면서 사고가 많이 줄었다”고 밝혔다. 검·경은 지난해부터 음주운전 동승자를 처벌하고 차량을 몰수하는 등 처벌을 강화하고 있다.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오후 10시~오전 6시 사이로 57.8%(278명)를 차지했다. 특히 오전 2~4시 사이가 18.3%(88명)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보행 사망자는 지난해보다 4.5% 줄었지만 전체 사망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이 39.9%에 달했다. 점유율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1.1% 포인트 상승했다. 보행자 연령별로 노인(4.7%)과 어린이(12.2%) 모두 감소했다. 무단횡단 사망자도 6.0% 감소했지만 신호기가 없는 횡단보도를 건너다 사망한 수는 9.9% 늘었다.

●고속도로 사망↑노인 운전 사고↓

고속도로 사망자는 지난해보다 13.3% 증가했으며, 특히 사업용 화물차에 의한 사망자가 96명으로 지난해보다 41.2% 증가했다. 고속도로 사고 치사율은 6.3%로 일반사고(1.9%)의 3배에 달했다. 노인 운전자가 낸 사고 사망자는 759명으로 지난해보다 6.9% 줄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노인 운전자가 이륜차를 몰다 사고를 내 사망한 수는 13.3% 늘었다.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는 지난해보다 9.2% 증가해 71명을 기록했다. 자동차 탑승 중 사망한 어린이가 31명으로 지난해보다 106.7% 증가했다. 안전벨트 착용 여부가 확인된 20명 중 14명(70%)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 자전거 사고로 인한 사망자도 5.8% 줄었다. 경찰 관계자는 “올해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3000명대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7-02-2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