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40대 여성 살해·시신 훼손 용의자 서울서 검거

통영 40대 여성 살해·시신 훼손 용의자 서울서 검거

입력 2017-04-28 23:35
수정 2017-04-28 2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남 통영에서 40대 여성을 살해한 뒤 시신을 훼손·유기하고 달아난 용의자가 경찰에 붙잡혔다.

통영경찰서는 살인·사체유기 혐의로 28일 A(49)씨를 긴급체포했다.

A 씨는 이날 오후 9시 40분께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한 호텔 로비에서 잠복해 있던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은 A 씨가 평소 타고 다니던 차량을 추적하다가 해당 호텔 근처에서 같은 차량을 발견하고 주변을 수색한 끝에 A 씨를 검거했다.

A 씨는 지난 21일 새벽 통영 시내 한 빌라 안방에서 B(47·여)씨를 흉기로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이후 B 씨 시신을 심하게 훼손해 아이스박스 3개에 나눠 담아 빌라 1층 주차장 옆 창고 안에 두고 달아난 혐의도 받고 있다.

아이스박스에서는 살인과 시신 훼손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흉기 여러 개도 함께 나왔다.

A 씨는 범행 이후 B 씨의 미성년 딸을 자신의 어머니가 있는 서울 집으로 데려가 맡긴 뒤 23일께 통영으로 다시 내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 때 A 씨가 증거 인멸 등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앞서 지난 27일 오전 B 씨 남편으로부터 신고를 받고 수사에 나서 당일 낮 12시 50분께 B 씨 시신을 발견한 직후 A 씨를 유력한 용의자로 보고 추적해왔다.

신고 당시 B 씨 남편은 당일 B 씨 소유 휴대전화를 통해 통화한 A 씨가 “내가 당신 처를 죽였다”고 말했다고 진술했다.

A 씨는 B 씨 남편에게 살해 사실을 털어놓은 뒤 통영의 한 지인에게도 전화를 걸어 재차 “(B를) 죽였다. 애는 모 커피숍에 데려다 놓겠다”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경찰은 27일 오후 3시 40분께 서울시내 한 커피숍에 있던 B 씨 딸을 찾아 통영의 아버지에게 인계했다.

경찰은 B 씨와 오랜 기간 알고 지내다가 지난해 말부터 동업을 해온 A 씨가 치정 문제로 B 씨를 살해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경찰은 A 씨를 통영경찰서로 압송, 날이 밝는대로 자세한 범행 경위를 조사한 뒤 구속영장을 신청할 계획이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