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중에도 피어난 5월의 동심

전쟁 중에도 피어난 5월의 동심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7-05-03 23:44
수정 2017-05-04 0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록원 5월 행사 옛 풍경 공개…어린이날·대학 축제 등 이색적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등 각종 행사가 많은 5월을 맞아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이 ‘기록으로 보는 5월 풍경’을 3일 공개했다. 동영상 10건, 사진 25건, 우표 3건 등의 기록 40건은 1950년부터 1990년대까지의 대학축제, 춘향제, 단오제 등 각종 5월의 행사 모습을 담고 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기록으로 보는 5월 풍경’ 관련 기록물을 4일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1951년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인파로 가득한 어린이날 기념식장 모습이다. 국가기록원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기록으로 보는 5월 풍경’ 관련 기록물을 4일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1951년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인파로 가득한 어린이날 기념식장 모습이다.
국가기록원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기록으로 보는 5월 풍경’ 관련 기록물을 4일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1976년 이화여대 ‘5월의 여왕(메이퀸) 대관식’ 모습이다. 국가기록원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기록으로 보는 5월 풍경’ 관련 기록물을 4일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1976년 이화여대 ‘5월의 여왕(메이퀸) 대관식’ 모습이다.
국가기록원
22회 어린이날 행사는 6·25전쟁 도중인 1951년 열렸다. ‘사랑으로 기르자 육백만 소년’이란 행사 구호에서는 생명도 담보하지 못할 전쟁 중이란 당시 상황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요즘은 구경하기 어려운 가장행렬, 합창제, 과거시험, 5월의 여왕 대관식 등 이색적인 대학축제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유명가수의 초청무대와 불꽃놀이가 넘쳐나는 요즘 대학축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연희대(연세대 전신) 1953년 합창제, 이화여대 ‘5월의 여왕’(메이퀸) 대관식, 석탑 과거시험을 치렀던 고려대 축제 등의 풍경이 이채롭다.

음력 5월 5일 단오는 4대 명절에 속하는 우리의 세시풍속으로 창포물에 머리 감기, 그네뛰기, 씨름이 대표적인 단오절의 모습이다.

춘향과 이몽룡이 처음 만난 날인 단오일을 기념하는 ‘춘향제’는 지역 축제로 자리매김하여 남원에서 수십 년간 열리고 있다. ‘춘향이 선발대회’에는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젊은 여인들이 참가해 경합을 벌이고 춘향과 이몽룡 가장행렬에는 수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05-0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