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피해 76% “동급생에 당해”…‘교실·쉬는 시간’ 최다

학교폭력 피해 76% “동급생에 당해”…‘교실·쉬는 시간’ 최다

입력 2017-08-09 11:34
수정 2017-08-09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등생 피해 응답률 가장 높아…중학생의 4.5배, 고교생 대비 8배

학교폭력 가해자는 피해자와 같은 학교, 같은 학년인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3월 20일부터 4월 28일까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2017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9일 공개했다.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한 해 두 차례 이뤄진다.

이번 실태조사에는 대상 학생의 93.3%인 68만4천116명이 참여했다.

참여 학생 가운데 학교폭력을 당한 적 있다고 답한 학생은 9천105명(1.3%)으로 작년 1차 실태조사에 견줘 908명, 재작년보다는 1천663명 줄었다.

학교폭력 피해 학생을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이 6천512명으로 전체의 71.5%를 차지했고 중학생은 1천582명(17.3%), 고등학생은 974명(10.7%)이었다.

초등생은 전체 초등생의 3.2%가 학교폭력을 당한 적 있다고 답한 셈이어서 그 비율이 중학교(0.7%)나 고등학교(0.4%)보다 각각 4.5배와 8배 높았다.

학교폭력 가해자는 동급생이 가장 많았다.

피해 학생의 41.0%는 ‘같은 학교, 같은 반’, 34.9%는 ‘같은 학교, 같은 학년’으로부터 폭력을 당했다고 밝혀 동급생을 가해자로 꼽은 비율이 75.9%에 달했다.

동급생을 가해자로 지목한 피해 학생 비율은 2014년 1차 70.7%, 2014년 2차 73.6%, 2015년 1차 70.6%, 2015년 2차 72.1%, 2016년 1차 69.2%, 2016년 2차 75.5% 등 실태조사마다 70% 안팎을 기록해왔다.

가해자로 ‘같은 학교, 다른 학년’을 꼽은 피해 학생은 8.9%, ‘다른 학교 학생’은 3.8%, ‘잘 모르는 사람’은 2.7%였고 ‘기타’는 8.6%였다.

학교폭력을 겪은 장소는 ‘교실 안’(28.1%)과 복도(13.4%), 운동장(9.8%) 등 ‘학교 안’(65.7%)이 ‘학교 밖’(27.5%)보다 많았다. 시간대는 쉬는 시간(30.9%), ‘하교 이후’(17.1%), 점심시간(15.2%), 수업시간(8.0%) 순이었다.

피해를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한 경우는 77.9%였고 대상은 가족(49.1%)이 가장 많았다.

신고를 안 한 이유로는 ‘별일 아니라고 생각해서’(28.1%)가, ‘스스로 해결하려고’(18.2%), ‘해결 안 될 것 같아서’(15.4%), ‘더 괴롭힘을 당할 것 같아서’(15.3%) 등으로 조사됐다.

학교폭력을 유형별로 나누면 언어폭력 34.5%, 집단따돌림 17.1%, 스토킹 12.6%, 신체 폭행 11.6%였다.

학생 1천명당 피해 응답 건수도 언어폭력이 9.3건으로 가장 많았고, 집단따돌림·괴롭힘(4.6건), 스토킹(3.4건), 신체 폭행(3.1건)이 뒤를 이었다.

자신이 학교폭력 가해자였다는 학생은 2천568명으로 실태조사 참여 학생의 0.4%를 차지했다. 지난해 조사 때보다 998명 감소했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학생은 2만4천72명(3.5%)으로 작년보다 2천530명 줄었다.

목격 후 ‘알리거나 도와줬다’는 학생은 77.9%, 모른 척했다는 답은 21.4%였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