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일주일 평균 2.5일 야근 “어쩔 수 없이 한다”

직장인 일주일 평균 2.5일 야근 “어쩔 수 없이 한다”

김서연 기자
입력 2017-09-01 10:18
수정 2019-03-26 1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직장인들이 평균 일주일에 2.5일 야근을 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사에 응답한 직장인 70% 가까이는 “야근은 당연하지 않다”며 ‘스스로 결정해서 야근하느냐’는 문항에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지난달 21∼30일 직장인 1013명을 상대로 한 야근 실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일주일에 평균 2.5회 야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1일 밝혔다.

‘야근을 자주 하느냐’는 질문에 ‘자주 한다’는 응답이 46.3%였고, ‘가끔 한다’는 답은 39.2%였다.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은 14.5%에 그쳤다.

기업 형태별로 보면 대기업 직장인이 가장 야근을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직장인 54.5%는 야근을 ‘자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중견기업 51.6%, 중소기업 44.5% 순이다.

반면 야근을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은 외국계 기업(20.8%)과 공기업(20.5%)에서 높았다.

야근이 가장 잦은 직무는 연구개발직(58.3%)이었다. 디자인직(53.2%), 기획직(52.5%), IT(정보기술)·시스템운영직(51.6%)이 그 뒤를 이었다.

직급별로는 부장급(55.3%) 직장인들이 가장 야근을 자주 했고, 이어 과장·차장급(50.6%), 주임·대리급(47.0%), 사원급(42.2%)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장인의 69.9%는 ‘회사 생활에서 야근이 당연한가’라는 질문에 ‘당연하지 않다’고 답했다.

‘스스로 결정해서 야근하느냐’는 물음에도 63.9%가 ‘어쩔 수 없이 야근한다’고 대답했다.

직장인들은 야근 이유로는 ‘업무 특성상 불가피해서’(43.9%·복수응답), ‘일이 많아 근무시간 내에 끝낼 수 없어서’(38.6%), ‘갑자기 발생하는 예측 불허 업무들 때문에’(26.2%), ‘야근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상사·기업 문화 때문에’(25.8%), ‘퇴근 시간 직전에 업무를 주는 상사 때문에’(10.6%) 등을 꼽았다.

직장인들의 평균 야근 시간은 2시간 30분이었다.

야근(초과근무) 수당을 받는다는 직장인은 37.7%에 그쳤다. 늦은 시간까지 야근할 때 회사에서 퇴근 교통비를 지원한다는 응답도 26.7%로 낮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