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도 서울 펄펄 끓었다”…폭염특보 33일·열대야 19일

“올여름도 서울 펄펄 끓었다”…폭염특보 33일·열대야 19일

입력 2017-09-03 11:22
수정 2017-09-03 11: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낮 최고 기온 35.4도…횡단보도 등 748곳에 그늘막 설치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올여름 서울에서 폭염주의보와 경보 등 폭염특보가 발효된 날이 33일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가 진 뒤에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아 열대야 일수도 19일이나 됐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여름 폭염특보는 폭염주의보 27일, 폭염경보 6일 등 모두 33일이었다. 이는 지난해 41일보다는 8일 줄어든 것이다. 폭염 기간 중 낮 최고 기온은 7월 25일 기록된 35.4도였고, 열대야 일수는 19일로 집계됐다.

시는 올여름 시내 교통섬과 횡단보도 등 748곳에 그늘막을 만들어, 지나가는 시민들이 신호를 기다리며 뙤약볕을 피할 수 있게 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국토교통부와 그늘막 설치를 위한 법적 근거를 협의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각 자치구에 내려보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올여름 서울 시내에서 발생한 온열 질환자는 106명으로, 지난해 170명보다 64명이 줄었다. 온열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2013년 이래 ‘0명’을 이어갔다.

시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운영했고, 재난 도우미 2만2천여 명을 투입해 65세 이상 홀몸노인과 쪽방촌 도우미 등을 찾아갔다.

아울러 냉방시설을 갖춘 동 주민센터·복지회관·경로당 등 3천250여 곳을 무더위 쉼터로 지정해 운영하고, 도심 온도를 낮추고자 6천380회에 걸쳐 5만8천여t의 물을 뿌렸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