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공공도서관 10년 동안 시설유지비 50배 늘어

서울교육청 공공도서관 10년 동안 시설유지비 50배 늘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7-10-05 20:00
수정 2017-10-05 2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교육청 산하 22개 공공도서관 예산이 지난 20년 동안 2배 가까이 늘어난 반면, 시설유지비가 무려 50배나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공도서관 대부분이 낡아 향후 시설비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5일 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교육청 공공도서관의 발전방안 정책 연구에 따르면, 22개 도서관 전체 예산은 1995년 238억 7000여만원에서 2015년 506억 6800여만원으로 2.1배 늘었다. 이 가운데 인건비는 158억 300여만원에서 309억 5500만원, 운영비는 51억 6700여만원에서 110억 3000여만원으로 증가했다. 도서와 디지털자료 등을 포함한 자료구입비도 19억 3300여만원에서 39억 7900여만원으로 비슷한 비율로 늘었다.

가장 많이 덩치를 불린 것은 시설유지비였다. 1995년 9600여만원에서 2015년 47억 2100여만원으로 10년 동안 무려 50배 가까이 늘어 자료구입비보다 더 많은 예산을 차지했다. 연구정보원 측은 이와 관련 “1920년 개관한 종로도서관을 비롯해 시설 노후화로 말미암은 보수의 필요성이 급증하면서 향후 시설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은 1920년 경성도서관(현 종로도서관), 1922년 경성부립도서관(현 남산도서관)을 시작으로 1970년대 4개 도서관, 1980년대 10개 도서관, 1990년대 6개의 도서관을 개관했다. 1995년까지 22개 공공도서관이 건립된 이후 추가 건립이 없었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지자체가 건립을 시작하면서 시교육청 도서관은 사실상 더는 생기지 않고 있다. 1995년 서울지역 전체 도서관은 28개였지만, 2015년에는 모두 162개로 확대됐다.

연구정보원이 도서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도 가장 불만족스러운 부분은 ‘시설’로 지목됐다. 연구정보원은 이와 관련 “노후시설 리모델링은 단순히 낡은 시설의 보수라는 의미를 넘어 변화된 도서관 역할 수행의 필수적인 요소”라며 “부분적인 개수 및 보수가 아닌 도서관 전체 공간을 대상으로 한 개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서울시의회(의장 최호정)는 오는 20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재정 여건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배분하고 시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명의 재정 전문가가 서울시와 교육청 예산안을 각각 분석 발표하며, 서울시의원, 재정 전문가, 공무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방청을 희망하는 시민은 누구나 토론회를 참관할 수 있으며, 유튜브(‘서울시의회 토론회 제2대회의실’ 검색)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는 2011년부터 매년 개최됐으며, 본격적인 예산안 심사에 앞서 중점 투자방향, 분야별 재원배분, 신규·증감 사업을 분석하여 예산 효율화와 건전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지난 10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된 2026년도 서울시 예산안은 전년도 대비 5.4% 증가한 총 51조 4513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석과불식(碩果不食 碩果不食 : 큰 과실을 다 먹지 않고 남겨 자손에게 복을 준다)의 관점에서 서울시 예산안의 3대 투자 중점별(동행서울, 안전서울, 매력서울) 주요 사업과 8
thumbnail -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