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 가까이가 한 달 월급으로 200만원 미만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순노무 종사자는 10명 중 8명이 월 200만원도 벌지 못했다.
통계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7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는 이러한 내용이 담겼다.
월급 구간별로 보면 100만원 미만과 100만원~200만원 미만이 각각 10.4%, 32.6%로 전년 대비 0.8%포인트, 2.0%포인트 축소됐다. 200만원~300만원 미만, 300만원~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임금 근로자는 각각 27.3%, 14.9%, 14.8%로 조사됐다. 세 구간 모두 전년보다 비중이 확대됐다.
200만원 미만 임금 근로자가 가장 많이 분포한 산업은 전체 16개 중 △농림어업(80.8%) △숙박 및 음식점업(77.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66.3%)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2.4%) 순이었다.
월급 400만원을 넘는 임금 근로자가 몰린 산업은 변호사, 회계사 등이 포함된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35.0%)이었다. 금융 및 보험업(34.6%),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28.4%)이 뒤를 이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임금 근로자 중 월급 400만원 이상은 1.1%에 불과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15~29세)의 경우 상대적으로 돈을 적게 버는 ‘숙박 및 음식업점’에 종사하는 비율이 9.2%로 월등히 높았다. 30~49세는 4.5%, 50세 이상은 6.7%에 그쳤다.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9개 도 지역 중 고용률 상위 5개 시는 제주 서귀포시(70.7%), 충남 당진시(68.2%), 전남 나주시(65.8%), 제주 제주시(65.7%), 경북 영천시(65.3%) 순이었다. 군 지역 중에선 경북 울릉군(81.3%), 전남 신안군(75.1%), 전북 장수군(74.9%)의 고용률이 높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