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자 미달’ 서울 특성화고 44곳…작년보다 28개 늘어

‘지원자 미달’ 서울 특성화고 44곳…작년보다 28개 늘어

신성은 기자
입력 2017-12-19 09:10
수정 2017-12-19 09: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령인구 감소가 주원인…직업계 선호 감소에 현장실습사고 영향 겹쳐”

최근 마감된 서울지역 특성화고등학교 2018학년도 신입생 모집 결과 전체 학교의 62.8%인 44개교에서 ‘미달사태’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지역 70개 특성화고가 내년도 신입생 1만6천172명을 뽑는 데 1만8천66명이 지원해 1.1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방송영상·연예·게임·실용음악 등 인기학과나 학교 쏠림현상이 나타나면서 44개교는 모집정원보다 지원자가 적었다. 모자란 지원자 수는 총 2천79명에 달했다.

지원자 미달사태가 발생한 서울지역 특성화고는 2015학년도 2곳(11명)에서 이듬해인 2016학년도에 19곳(177명)으로 늘어난 뒤 작년(2017학년도) 16곳(546명)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올해 다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미달사태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학령인구 감소가 꼽힌다.

서울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서울지역 중학교 3학년 학생 수는 2013년 10만3천307명, 2014년 9만9천198명, 2015년 9만9천858명, 2016년 8만5천920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져 왔다. 올해 중3은 7만5천여명 정도다.

서울시교육청은 전통적인 직업계고인 공고와 상고에 대한 학생·학부모 선호도가 떨어진 점도 미달사태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또 최근 특성화고 현장실습 사고가 잇따라 알려진 점도 특성화고 지원을 주저하도록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최근 제주에서는 특성화고 졸업반 이민호 군이 음료 공장에서 일하다 제품적재기에 목 부위가 끼어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이달 1일 조기취업 형태의 현장실습 폐지를 골자로 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위해 간담회 개최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7일 동대문구청 간부들과 동대문문화재단 대표이사, 본부장 등이 함께한 문화예술 사업 예산 간담회에서 동대문구 주민들을 위한 안정적이고 접근성 높은 공공 공연장 확보에 서울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제기동 선농단 역사문화관 리모델링 ▲세종대왕기념관 아트홀 건립 계획 ▲서울시립대학교 공연장 활용 가능성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 의원은 “선농단 역사문화관은 제기역과 안암오거리 사이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리모델링을 통해 공공 공연장으로 재탄생시키면 주민 만족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 관계자들도 “공공 공연장이 전무한 동대문구에서 선농단 공연장화는 지역 문화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핵심 사업”이라며 지역 공연장 조성 필요성에 공감했다. 동대문구청은 문화체육관광부 소유 세종대왕기념관 부지를 활용해 대형 아트홀 건립 계획을 추진 중이며, 이 의원은 해당 계획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예산·행정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 의원은 “동대문구에는 2000석 이상 대형 공연장이 없는 상황”이라며 “세종대왕기념관 부지에 아트홀이 조성될 경우 동북권 주민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위해 간담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