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게 술 마시고 작별한 그날…박종철 선배가 죽었다”

“재밌게 술 마시고 작별한 그날…박종철 선배가 죽었다”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11 10:27
수정 2018-01-12 09: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 열사 대학 동기·후배의 기억…“순수하고 선했던 사람”

“1987년 1월 13일 밤 종철이 형을 만나서 술 먹으면서 놀았어요. 그때 헤어지면서 종철이 형이 손을 흔들었는데 그게 마지막 인사일 줄은…”

1987년 1월 14일 경찰의 고문을 받아 숨진 서울대 언어학과 3학년 박종철 열사의 대학 1년 후배인 이현주(52·여)씨는 31년이 지난 지금도 박 열사의 마지막 모습을 잊지 못하고 있었다.

이씨는 11일 연합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박 열사와 함께했던 마지막 순간을 불과 어제 일처럼 생생히 전했다. 그는 인터뷰 도중 감정이 북받쳐 올라 수시로 말을 잇지 못했다.

그가 기억하는 박 열사의 마지막은 ‘유쾌한 선배’의 모습이었다.

이씨는 “1987년 1월 13일 자정에 학과 학생회장이었던 종철이 형이 성적표를 전해준다고 신림동 집 앞에 왔다”며 “늦은 시간이니 집에 가라고 했는데 옆에 있던 내 동생한테 야식이라도 사줘야 한다면서 같이 나오라고 하니 안 나갈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근처 분식집에서 박 열사와 함께 2∼3시간가량 만두를 먹으며 술을 마셨다고 회상했다.

그는 “얼마나 재밌었는지 아직도 그때가 기억이 난다”며 “종철이 형이 동생한테 공부 열심히 하라고 충고하면서 웃고 떠들었던 기억이 난다”고 말했다.

이어 “즐겁게 야식을 먹고 집으로 들어가는데 종철이 형이 한참을 손을 흔들며 인사했다”며 “그 모습이 지워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씨는 다음날 TV 뉴스를 보고 박 열사가 경찰 고문으로 숨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라며 박 열사의 죽음을 단순 쇼크사로 위장하려 했다.

그는 “내가 아는 종철이 형은 경찰의 고문에 놀라서 죽을 정도로 심약한 사람이 아니었다”며 “원리원칙을 지키면서도 신념을 지킬 때는 언제나 꼿꼿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씨는 박 열사를 ‘평소 엄격했지만 때로는 누구보다 재미있었던 사람’으로 기억했다.

이씨는 “종철이 형은 심각하고 무거운 이미지의 운동권 학생들과 달리 사람의 경계심을 풀어버릴 정도로 순수하고 선했다”며 “그런 모습에 종철이 형을 따라 입학하자마자 써클에도 가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종철이 형이 같이 사진 찍었다가 경찰에게 걸리면 안 된다고 사진도 못 찍게 했다”면서 “같이 찍은 사진이 없어 아쉽고, 보고 싶다”고 했다.

박 열사의 마지막을 기억하는 대학 동기 이윤정(53·여)씨 역시 박 열사를 ‘노래 부르며 기타 치던 유쾌한 친구’로 기억했다.

윤정씨는 박 열사가 숨지기 전날인 1987년 1월 13일 서울대 언어학과 사무실에서 박 열사를 마지막으로 만났다고 한다.

그는 “고향에서 올라와 과사무실에 갔는데 종철이가 왔다”며 “‘어디 가느냐’고 하니까 ‘일본어 공부하러 간다’고 웃으면서 말했었다”고 전했다.

그는 “일본어 수업 늦었다고 서둘러 나가던 그 모습이 종철이의 마지막이었다”며 “다음날 동기로부터 전화를 받고 뉴스를 본 뒤에야 종철이가 죽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윤정씨는 “종철이는 운동권, 비운동권 할 것 없이 모든 친구와 잘 지냈다”며 “1학년 때 대성리로 MT를 갔을 때 기타 치면서 노래도 불러주던 멋진 친구였다”고 회고했다.

윤정씨는 31년이 지나 영화 ‘1987’을 보고 박 열사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으로 눈물이 멈추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그는 “고문이라는 공포 속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행동했던 종철이를 생각하면 죄책감이 있다”며 “‘1987’을 보고 눈물이 계속 흘렀던 것도 종철이에 대한 미안함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