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14주년 1904~2018] 서울신문 내일부터 달라집니다

[창간 114주년 1904~2018] 서울신문 내일부터 달라집니다

입력 2018-07-16 22:52
수정 2018-07-17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신문이 창간 114주년을 맞는 7월 18일부터 풍성한 정보를 담은 섹션면을 매주 월·수·금요일자에 선보입니다. 주 52시간 시대의 정착에 앞장서고자 토요일자를 폐지한 데 이어 독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읽을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심층기획과 함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섹션면에 담게 됩니다.



① 월요일 격주 ‘사사건건’ ‘마주보기’ 섹션 신설 월요일자에 격주로 실리는 ‘사사건건(事事件件)’과 ‘마주보기’ 섹션에서는 한 주에 예상되는 핫이슈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설과 함께 다문화가족, 장애인, 성소수자 등 다양한 사회 구성원의 삶에 대한 분석과 정책대안을 제시합니다.

② 수요일 ‘퍼블릭 IN’ 섹션 공공 제언·고시 정보 가득 수요일자 ‘퍼블릭 IN’에서는 공공서비스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언과 공무원·공기업 등 공직사회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뉴스, 고시 관련 정보를 다루게 됩니다.

③ 금요일 ‘쉼’ 섹션엔 생활밀착형 힐링 정보 담아요 금요일자 섹션 ‘쉼’에서는 여행, 책, 게임, 전국 맛집 등 독자들이 주말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생활밀착형 힐링 정보를 전해 드립니다.

④ 모든 지면 6→5단 편집… 본문 활자 6% 키웁니다 편집에서도 모든 지면을 6단에서 5단으로 바꾸고 기사 한 단의 폭을 64㎜로 늘려 신문을 읽을 때 전체적으로 시원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또 새 서체를 활용하고 본문 활자 크기를 9.7포인트에서 10.3포인트로 6% 키우는 한편 행과 행사이의 간격을 넓혀 가독성을 더욱 높였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변함없는 애정과 관심을 바랍니다.
2018-07-1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