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피해 낮에는 실내서, 밤엔 한강으로…한증막 된 서울

폭염 피해 낮에는 실내서, 밤엔 한강으로…한증막 된 서울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17 20:31
수정 2018-07-17 2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합쇼핑몰·무더위쉼터 등에 ‘피서행렬’…열대야에 한강둔치 연일 ‘북적’

숨이 턱턱 막히는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은 17일에도 한낮 수은주가 32도를 넘어섰다. 고층건물과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심은 마치 한증막이나 찜통 같은 열기를 자아냈다.
이미지 확대
‘혼자만의 피서’
‘혼자만의 피서’ 서울 최고기온 32도를 기록한 17일 서울 홍제천에서 한 시민이 더위를 피하고 있다. 2018.7.17
연합뉴스
시민들은 낮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면서 냉방이 잘 되는 실내에서 더위를 피했다. 밤에도 며칠째 이어지는 열대야로 잠을 청하기 힘들자 가족, 친구들과 한강 둔치 등을 찾는 이들이 많았다.

서울은 이날 오후 낮 최고 기온 32.1도를 찍으며 더위가 절정을 이뤘다. 평년 낮 최고 기온인 28.2도보다 3.9도나 높았다.

34도까지 올랐던 전날보다 온도가 약간 낮기는 했으나 30도를 넘는 기온에 최소 45% 이상의 습도가 더해져 무덥기는 마찬가지였다.

직장인 한모(31) 씨는 “야외에서 5분만 걸어도 금세 지쳐버린다”고 하소연했다.

이날 시민들은 에어컨이 나오는 실내에 최대한 머무르면서 더위를 피하려는 모습이었다.

서울의 대표적인 실내 복합쇼핑몰인 삼성동 코엑스는 점심시간이 되자 방학을 맞은 대학생에 인근 직장인까지 몰려 인산인해를 이뤘다.

직장인들은 시원하게 땀을 식히면서 가볍게 배를 채울 수 있는 면 요리 집 앞마다 10여m씩 줄을 섰다.

한 국숫집 앞에 줄을 서 있던 성 모(34) 씨는 “아무리 줄이 길어도 실내에서 기다리는 게 낫겠다 싶어 코엑스로 왔다”면서 “시원한 냉콩국수를 먹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열치열’이라며 오히려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찾는 이들도 있었다. 주꾸미 전문점을 찾은 최모(28·여) 씨는 “더울 때 매운 걸 먹으면 땀이 좀 나면서 오히려 더위가 날아간다”면서 “매운 걸 먹고 아이스크림을 먹어야 한다”며 웃었다.

커피숍과 아이스크림 가게는 빈자리가 나면 곧바로 서서 기다리던 사람이 뛰어가 자리를 차지할 정도로 손님이 끊이지 않았다.

직장인 황모(33) 씨는 “요 며칠 내내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를 정도로 덥다”면서 “무더위가 이어지니까 아무것도 하기 싫고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데, 이럴 때는 그냥 회사도 방학하는 게 차라리 낫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삼성동의 한 노인 복지관 바둑실에서도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이 잘 쐬지는 자리가 인기였다.

바둑 훈수를 두던 김모(71) 씨는 “집에서 에어컨을 틀면 전기세 아까우니까 한여름에는 복지관을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오후 7시에도 기온이 31도를 유지하며 무더위가 꺾이지 않았다.

계속되는 열대야에 며칠째 밤잠을 설친 시민들은 저녁에도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는 열기를 피해 한강 둔치에 자리를 잡고 강바람에 더위를 식혔다.

열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시내 한복판과 달리 한강에는 높은 기온에도 간간이 불어오는 바람에 다소 시원한 느낌마저 들었다.

여의도 한강공원에는 돗자리를 들고 나들이를 나온 시민들이 눈에 띄었다. 원효대교 아래와 나무 그늘에는 돗자리를 깔고 앉아 더위를 피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여자친구와 나무 그늘에서 쉬고 있던 대학생 박 모(24) 씨는 “실내보다 덥기는 하지만, 에어컨 바람보다 자연풍을 느끼고 싶어 나왔다”며 “가만히 그늘에 앉아 있으면 생각보다 시원하다”고 말했다.

남편과 함께 강아지를 산책시키던 유 모(56·여) 씨는 “온종일 에어컨을 켤 수 없어서 그나마 시원한 한강에 나왔다”며 “밤늦게까지 한강에 있다가 시원해지면 집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폭염이 이어지자 냉방시설이 설치된 주민센터, 복지회관, 경로당 등 3천200여 곳을 무더위 쉼터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무더위 쉼터에서는 실내온도를 26∼28도로 유지한다. 일부 쉼터는 연장 쉼터로 지정돼 폭염특보 발령 시 오후 9시 이후와 주말까지 연장 운영한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