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 알선 포털 10곳·성매수 후기 게시자 등 400명 고발

성매매 알선 포털 10곳·성매수 후기 게시자 등 400명 고발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9-17 13:58
수정 2018-09-17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단체, 성매매방지법 14주년 기자회견

이미지 확대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 공동고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공동 기자회견문을 통해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의 운영자, 도메인 소유자, 광고행위자, 알선업자, 구매자 등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함께 운영 수익 전액 몰수 및 사이트 폐쇄 등을 촉구했다. 2018.9.17 뉴스1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 공동고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들은 공동 기자회견문을 통해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의 운영자, 도메인 소유자, 광고행위자, 알선업자, 구매자 등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함께 운영 수익 전액 몰수 및 사이트 폐쇄 등을 촉구했다. 2018.9.17
뉴스1
성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성매매방지법) 시행 14주년을 맞아 여성인권단체 등이 성매매 알선 창구 역할을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철저하게 수사할 것을 촉구하며 경찰에 고발했다.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와 서울시립 다시함께상담센터는 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 공동고발’ 기자회견을 열고 “철저한 수사로 사이트를 폐쇄하고 불법수익을 몰수·추징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가 디지털 성범죄 유통산업 핵심에 있다”며 “이 사이트들은 남초 커뮤니티에 소스를 제공하고 성매매 업소 정보를 공유하며 성착취 범죄를 일상화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성매수 문화는 범죄 온상인데도 범죄로 인식되지도 처벌되지도 않았으며 설령 처벌돼도 수위가 너무나 미약했다”며 “외국에 서버를 뒀다거나 숫자가 너무 많아 수사가 어렵다는 것은 수사기관의 핑계와 직무 유기”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들은 또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를 방치한 국가 정책에 강력히 항의한다”며 “철저한 수사를 통해 사이트를 폐쇄하고 불법 수익을 몰수·추징해야 한다”고 경찰에 촉구했다.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와 다시함께상담센터는 ‘성매매알선’과 ‘후기사이트’, ‘성착취’ 등이 적힌 종이가 걸려 있는 그물망을 가위로 잘라내는 퍼포먼스를 했다.

이들은 “성매매 알선과 구매 사이트, 성 매수자가 모두 연결돼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끊어버리겠다는 뜻”이라고 퍼포먼스 의미를 설명했다.

두 단체는 기자회견을 마친 직후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성매매 알선·구매 포털사이트 10곳의 운영자, 관리자, 도메인 소유자를 성매매처벌법·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아울러 해당 사이트가 광고한 성매매 업소 총 100곳의 업주와 광고 게시자, 사이트에 성매수 후기 글을 올린 이용자 400여 명도 고발했다.

이들은 “이번 고발을 통해 성매매 업소와 사이트 운영자, 성 구매자의 연결고리를 밝혀 성매매 산업의 불법적 수익 구조를 드러내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성매매 알선·구매 문화를 척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성매매방지법은 2000년 전북 군산 대명동과 2002년 군산 개복동의 성매매 업소 집결지에서 각각 화재 참사가 발생하면서 성매매 산업을 해체하라는 사회적 목소리가 커지자 2004년 9월 23일 시행돼 올해로 14주년을 맞았다.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6일 서울역사박물관 1층 로비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학생필하모닉 여름연주회’에 참석해 도산 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협연 무대를 시민들과 함께했다. 이날 연주회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가 협연하는 특별 공연으로 기획됐다. 서울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열린 음악회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서울의 역사적 공간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작사한 ‘거국가’가 연주되는 뜻깊은 무대가 마련됐다. 이 의원은 “도산 선생이 남긴 애국의 정신과 교육 철학이 오늘의 청소년들에게 음악이라는 언어로 되살아나고 있다”라며 “서울의 중심에서 시민과 함께하는 이번 음악회가, 기억의 울림이자 희망의 시작이 됐다”고 전했다.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전국 유일의 교육청 직영 학생 오케스트라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7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창단 이후 매년 정기 공연과 지역 연주회를 통해 서울시민과 예술로 소통해왔다.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는 도산 선생의 애국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구성된 전문 관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