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중국 베이징대서 강연…서울시장으로선 처음

박원순, 중국 베이징대서 강연…서울시장으로선 처음

강경민 기자
입력 2018-11-26 11:23
수정 2018-11-26 1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베이징 자매결연 25주년 기념공연

이미지 확대
박원순 서울시장.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서울시장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베이징(北京)대에서 강연한다.

전날부터 3박 4일 일정으로 베이징을 방문 중인 박 시장은 이날 오후 3시 50분(이하 현지시간) ‘동북아의 새로운 미래, 도시에서 찾다’를 주제로 베이징대 학생 150여명을 대상으로 강연한다.

박 시장은 강연에서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방화’(localization)를 동시에 추구하는 이른바 ‘세방화’ 시대 시민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주체로서 도시와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 또 서울시가 시도해 온 혁신적인 청년 정책도 소개하며 강연 후에는 베이징대 학생들과 질의응답 시간도 갖는다.

서울시는 “박 시장은 2014년 산둥당교 강연과 2015년 중앙당교 강연 등 과거 중국 방문 때 중국 공산당 간부들에게 서울시정을 소개한 적이 있지만, 중국 대학에서 강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강연 이후 천지닝(陳吉寧) 베이징 시장과 면담한다.

박 시장은 앞서 오전에는 중국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베이징 중관춘(中關村) 창업 거리를 찾아 창업 인큐베이터인 ‘처쿠(車庫) 카페’ 등을 둘러봤다.

한편 이날 오후 8시 서울시와 베이징시 공동 주최로 베이징 국가대극원 콘서트홀에서 서울과 베이징 자매결연 25주년을 축하하는 기념공연이 열린다.

서울시와 베이징시는 한중 수교 이듬해인 1993년 10월 자매도시 협정을 맺고 교류하고 있다. 2013년에는 전면적 교류협력 강화를 위해 양 도시 간 통합위원회를 만들고 2년마다 한 번씩 서로 번갈아 가며 총회를 열고 있다. 올해 3월에 천지닝 베이징 시장 등 대표단이 서울에서 열린 통합위원회 회의에 참석했다.

공연에서는 진성수 지휘자가 이끄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이 ‘아리랑 환상곡’을 연주하고 중국 노래 ‘첨밀밀’과 ‘월량대표아적심’, 중국 민요 ‘모리화’를 국악으로 편곡해 연주한다. 공연에는 중국 소프라노 주현이 함께 하며 양국 전통악기 해금과 얼후(二胡) 협주 무대도 마련된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