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출산에 대한 미혼 남녀의 가치관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결혼 후 자녀가 없어도 괜찮다’는 인식이 과거보다 늘었고, 결혼에 대한 부정적 또는 유보적 인식도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저출산 정책이 성공하려면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와 현재 생활 수준을 면밀히 파악해 그 경향성을 이해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혼인구의 자녀 및 가족 관련 생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0~44세 미혼 남녀 2464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답변한 미혼 남성은 28.9%, 미혼 여성은 48.0%로 나타났다. 2015년 조사에서는 미혼 남성의 17.5%, 미혼 여성의 29.5%만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답했는데, 불과 3년 사이에 출산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1.6배 증가한 것이다.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남녀가 조금씩 달랐다. 남성은 ‘아이가 행복하게 살기 힘든 사회여서’(27.7%)를 1순위로 꼽은 반면, 여성은 ‘자녀가 있으면 자유롭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32.0%)를 첫 번째 이유로 내세웠다. ‘직장 생활을 계속하고 싶어서’라고 이유를 밝힌 응답자는 남성 2.4%, 여성 5.8%였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자녀가 생기면 자신의 일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여성에게 더 빈번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가정 양립을 보장해야 출산율도 올라갈 것이란 지적이다.
결혼에 대해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미혼 남성은 50.5%로 절반을 넘은 반면, 여성은 28.8%에 그쳤다. 다만 남성도 ‘결혼을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39.2%)는 유보적 응답 비중이 컸고, ‘하지 않는 게 낫다’(6.6%)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연구원은 “청년층 전반에 결혼에 대한 부정적 또는 유보적 태도가 널리 퍼져 있다”고 해석했다.
결혼을 전제로 한 동거에 대한 찬성 응답은 남녀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미혼 여성의 찬성률은 2015년 51.2%에서 지난해 70.5%로 19.3% 포인트 증가했다. 가족 형태와 관련한 전통적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2-0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