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가 부르는 3·1운동 기념곡…“대한민국에 희망 함께하길”

김연아가 부르는 3·1운동 기념곡…“대한민국에 희망 함께하길”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2-18 14:04
수정 2019-02-18 14: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카스텐 하현우와 ‘3456’ 같이 불러…음원사이트서 무료 감상

김연아. 뉴스1 자료사진
김연아.
뉴스1 자료사진
“누군가 널 감춰도 목소리를 훔쳐도 어디든 있는 넌 사라지지 않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정신을 가사와 멜로디에 담은 노래가 은반의 여왕 김연아의 목소리로 울려 퍼진다.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는 김연아를 비롯해 밴드 국카스텐의 하현우 등이 참여한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음악을 18일 발표했다.

김연아와 하현우가 부른 노래의 제목은 ‘3456’이다. 3·1운동,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등 국민주권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앞 숫자를 따서 지었다.

하현우·MGR이 작사했고 하현우·MGR·최용찬이 작곡했다.

김연아는 “앞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크고 작은 희망이 항상 함께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하현우는 “지난 100년의 역사에서 국민들은 모두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같은 꿈을 가지고 살아온 것 같다”며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가진 의미를 노래로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보컬·건반 2인조 그룹 ‘멜로망스’가 부르고 박우상이 작사·작곡한 팝발라드 ‘다시’도 공개됐다.

위원회는 “대한민국 역사 속에서 발생한 다양한 갈등을 포용하고 미래 100년을 함께하고자 하는 바람을 순수한 선율과 남녀관계에 대한 은유를 이용해 표현한 곡”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립교향악단, 국립합창단, 소프라노 임선혜·황수미가 참여한 교향곡과 가창곡은 오는 26일 추가로 공개된다.

기념 음원은 주요 음원사이트, 위원회 홈페이지와 SNS 계정 등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