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난민 인정’ 청소년의 한국 살이
10년 일반 학교 다녀 한국말 유창해도“침대 축구” “테러리스트” 놀림·편견
모델 콘테스트 두각…한현민이 롤모델
난민 재신청 인터뷰 앞둔 아버지 걱정
심사 도와준 선생님은 제2의 아버지

김민혁군은 한국에서 살면서 가장 고마운 사람이 누구냐고 물었더니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오현록 선생님을 꼽았다. 난민 심사 과정에서 늘 곁을 지켜줬던 중학교 국어 선생님이다.
이란 출신 난민인정자 김민혁(16)군이 다른 학교와의 축구경기를 벌일 때면 종종 상대편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듣곤 했다. ‘침대 축구’라는 오명을 가진 이란에서 왔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런 사소한 편견은 최근 거대하게 확장됐다. 난민신청자였던 민혁군 부자에게 사회는 돌을 던졌다. ‘테러리스트’가 될 수 있는 ‘가짜 난민’이라는 논리에서다. 2010년부터 한국에서 산 민혁군은 2016년 가톨릭 개종을 이유로 난민 신청을 했고, 지난해 10월 난민 지위를 인정 받았다. 그러나 같은 날 함께 난민 신청한 아버지는 난민 지위를 부여받지 못했다.
지난 20일 저녁 서울 송파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민혁군은 요즘 아버지의 ‘난민 심사 인터뷰’가 가족회의 1순위 안건이라고 했다. 아버지는 난민 재신청을 한 상태다. 민혁군은 자신이 경험한 인터뷰를 돌이키며 “마치 대학시험을 보는 것 같은 두려움이 들었다”고 했다. “신약과 구약의 의미를 말해봐라, 예수님의 제자 12명의 이름 등을 외워보라고 하더라고요. ‘후덜덜’ 떨며 대답을 했죠. 예수님이 어디서 태어났냐는 질문에 너무 긴장해서 ‘마구간’이 아니라 ‘방앗간’이라 답하기도 했어요.”
일곱 살 때 사업하는 아버지를 따라 한국에 온 후 일반학교에 다닌 민혁군의 한국어 구사 능력은 또래 한국 친구들 못지않다. ‘김민혁’이라는 한국 이름도 친구들이 지어줬다. “한국 사람은 동사무소에서 웬만한 서류는 다 발급받을 수 있잖아요. 외국인은 출입국사무소, 시청, 동사무소 등등 발급 기관이 다 나뉘어 있어요. 한국어를 잘하는 저도 서류 발급이 정말 힘든데, 한국어를 못하는 외국인들은 이걸 어떻게 하나 싶기도 하죠.”
난민 인정 후 무엇이 바뀌었냐는 질문을 던지자 선뜻 답이 돌아오지 않았다. 민혁군은 “정식으로 체류를 인정받았다는 데서 오는 안정감이 제일 크다”고 말한 뒤 “그 외에는 달라진 것이 없어요”라고 덧붙였다. 민혁군은 난민 지위를 인정 받았지만 유엔 제재 국가 출신이라는 이유로 아직 은행 계좌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민혁군은 국내 난민 출신 1호 모델을 꿈꾼다. 그는 중학교 때부터 교복 모델 콘테스트에도 나가 주목받기도 했다. “한현민 형이 성공하면서 흑인, 혼혈에 대한 편견이 많이 사라졌잖아요. 저도 난민 출신 모델로 성공해서 한국에 있는 난민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꼭 없애고 싶습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19-02-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