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의 순종, 80세 아편쟁이 노인 같았다” 독일 기자가 본 마지막 황제

“50세의 순종, 80세 아편쟁이 노인 같았다” 독일 기자가 본 마지막 황제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9-03-14 23:02
수정 2019-03-15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24년 獨언론, 일본돈 50엔 내고 인터뷰

“햇빛 보지 않은 얼굴…정원 가꾸며 소일
日, 명성황후 산 채로 불에 태워 죽였다”
이미지 확대
순종(1874~1926년) 연합뉴스
순종(1874~1926년)
연합뉴스
대한제국의 2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인 순종(1874~1926년)이 일제강점기에 독일 신문 알게마이네 차이퉁 기자와 가진 인터뷰가 14일 공개됐다. ‘오늘의 서울, 황제를 만나다’(1924년 5월 3일자)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황제 자리에서 물러난 뒤 은거하고 있던 순종은 기자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그저 “폐인 같은 모습으로 아편을 피우는 늙은 노인”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중국학과 고혜련 초빙교수가 이날 공개한 기사에 따르면 무명의 기자는 아르날도 치폴라라는 이탈리아 기자와 함께 순종과의 인터뷰를 추진했다. 일본돈 50엔의 비용을 지불한 뒤 창덕궁일 것으로 예상되는 궁에서 순종을 만난 기자는 순종의 첫인상에 대해 “80세 정도의 깡마르고 햇빛을 보지 않은 얼굴의 노인이었다. 황제는 그저 아편을 피우거나 정원을 가꾸는 일로 소일하고 있다. 가족만 남은 그는 한국정치의 비극적 인물이다”라고 묘사했다. 당시 순종의 나이는 50세에 불과했다.

순종과의 인터뷰는 수월하지 않았다. 어떤 질문을 건네도 황제는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기자는 순종에게 “황제로 있던 시절(1907~1910년) 이탈리아 대표사절을 기억하는지”를 물었으나 황제는 미소만을 띠었다. (1923년 발생한) 일본의 관동대지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었으나 역시 고개를 흔들기만 했다고 묘사돼 있다. 기자는 일제 만행의 역사를 알고 있었다. 기사에는 “미친 (일본) 군대는 고종의 궁에 침입해 명성황후를 때린 후 석유를 붓고 산 채로 불에 태워 죽였다. 황제는 러시아 공사관으로 도망쳐 살아남았다. 불행한 왕조에 남은 건 고난의 길 뿐이었다”고 서술돼 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9-03-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