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예산] 미세먼지 해결에 4조 쓴다…먹는 물 관리도 강화

[2020예산] 미세먼지 해결에 4조 쓴다…먹는 물 관리도 강화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8-29 09:28
수정 2019-08-29 0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후경유차 조기폐차·사업장 방지시설·전기차 등 보급확대‘붉은수돗물’ 해결 위해 노후수도관 정비·스마트상수도 구축폐기물 21만t 처리에 28억 편성, 유해화학물질 정보 생산지원

이미지 확대
미세먼지로 뿌연 서울시내  연합뉴스
미세먼지로 뿌연 서울시내
연합뉴스
재앙 수준으로 심각해진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내년에 4조원을 쏟아붓는다.

29일 정부의 2020년 예산안에 따르면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계획한 내년 예산은 4조원으로 올해 2조3천억원보다 1조7천억원(74.6%) 늘었다.

올해 추경 예산 규모(1조3천억원)를 감안해도 4천억원 정도를 더 쓰는 셈이다.

투자의 대폭 확대로 핵심 미세먼지 배출원 감축 속도를 늘려 배출량 저감 목표를 1년 앞당겨 달성한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2014년 미세먼지 배출량 기준 32만4천t을 2022년까지 35.8%(11만6천t) 줄이는 목표를 2021년에 이루겠다는 것이다.

미세먼지 주무 부처인 환경부의 관련 예산도 올해 1조825억원에서 2배 이상 늘어난 2조2천904억원에 달한다.

미세먼지 주범의 하나인 노후 경유차 30만대를 조기 폐차하는 데에 2천896억원이, 저감장치(DPF) 부착에 1천383억원이 각각 쓰인다. LPG 화물차 신차 구입 지원에는 200억원이 편성됐다.

건설기계도 1만대의 엔진을 교체하는 데는 990억원을, DPF 부착에 330억원을 쓸 계획이다.

미세먼지 최대 배출원으로 꼽히는 사업장 미세먼지를 줄이고자 소규모 사업장 4천 곳에 미세먼지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데는 2천200억원이 편성됐다. 올해 182곳에 80억원을 들인 것에 비하면 눈에 띄게 늘어난 금액이다.

가정용 일반보일러를 저녹스(친환경인증)보일러로 교체하는 예산도 올해 24억원(3만대)에서 510억원(35만대)으로 크게 늘었다.

전기차와 수소차, 충전 기반시설 보급도 대폭 확대한다. 관련 예산은 올해 7천억원에서 1조1천억원으로 증가했다.

전국 지하역사(566곳) 자동측정망 설치, 지하역사·터널·열차 등 공기정화 사업, 저소득층(246만명) 마스크 지급 등 미세먼지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는 사업에 1천836억원이 배정됐다.

또 한·미·유럽연합(EU) 대기질 공동연구 고도화나 한·중 미세먼지 기술 엑스포 및 심포지엄 개최, 중국 대기오염방지센터 협력 연구 추진 등을 포함한 국제협력 등 정책기반 강화 예산에 1천501억원이 편성됐다.

‘붉은 수돗물’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먹는 물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예산도 대폭 늘었다.

수돗물 불신의 주요 원인인 노후 상수도관 정비에 올해 2천359억원에서 2배 가까이 늘어난 4천680억원이 배정됐다.

또 3천811억원을 들여 전국 지방 상수도에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한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해 수질·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감시함으로써 신속히 초동 대처를 하기 위한 사업이다.

상수원 상류 유역거점형 오염저감 시범사업(36억원), 녹조 다발 지역 IoT(사물인터넷) 기반 수질 감시시스템 신규 구축(24억원) 등 상수원 보호 사업도 실시한다.

화학물질이나 폐기물 등 유해물질 관리도 강화된다.

전국의 불법·방치 폐기물 21만t을 처리하는 데에 288억원을 편성했으며, 20억원을 들여 유해·불법·재해재난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국가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추진한다.

중소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정부가 직접 유해성 정보를 생산·지원(올해 29종→내년 500종)하는 데 250억원, 등록·승인(올해 60종→내년 570종) 과정을 지원하는 데 176억원을 각각 쓸 예정이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