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2% “한국, 살기 좋은 곳”…92% “진보·보수 갈등 심각”

국민 82% “한국, 살기 좋은 곳”…92% “진보·보수 갈등 심각”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9-12-09 16:13
수정 2019-12-09 16: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9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직장인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직장인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84%는 ‘한국 사람이어서 자랑스럽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행복하다’고 여기는 비율도 64%였다.

9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개한 ‘2019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어느 정도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행복하다’는 응답이 63.6%를 차지했다.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는 1996년 처음 시작해 2016년에 이어 이번이 일곱번째다. 이번 조사는 문체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8월 27일부터 9월 27일까지 한 달간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상대로 개별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자들은 지금 하는 일에 대해 68.3%가 ‘가치 있다’고 답했다. ‘삶에서의 자유로운 선택’에 대해서는 63.7%가 ‘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종종 특별한 이유 없이 우울할 때가 있다’는 응답은 24.4%였다. 이어 ‘종종 사소한 일에도 답답하거나 화가 난다’(23.9%), ‘종종 소외감을 느낀다’(18.8%), ‘종종 무시당하고 있다고 느낀다’(16.3%)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는 ‘한국 사람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는 답변이 83.9%, ‘한국 역사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답변은 83.3%였다.

우리나라가 ‘살기 좋은 곳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81.9%였다. 한국의 전통문화와 유물, 정신문화, 대중음악(K팝)에 대해선 ‘우수하다’는 응답이 각각 93.3%, 85.3%, 92.8%로 과거 조사 때보다 높아졌다.

우리 사회의 갈등 양상에 대해서는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91.8%로 눈에 띄게 높았다. 이는 2016년 조사 때보다 14.5%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갈등 유형별로 보면 ‘정규직-비정규직’은 85.3%, ‘대기업-중소기업’ 81.1%, ‘부유층-서민층’ 78.9%, ‘기업가-근로자’ 77.7%가 크다고 답했다. 이어 ‘남성-여성’ 갈등은 54.9%, ‘한국인-외국인’ 갈등은 49.7%가 크다고 반응했다. 경제적 양극화에 대해서는 90.6%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를 묻자 ‘일자리’(31.3%), ‘저출산·고령화’(22.9%), ‘빈부격차(20.2%)’ 등의 순으로 나왔다.

일과 여가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여가보다는 ‘일에 더 중심’을 둔다는 응답이 48.4%였고, ‘비슷하다’는 34.6%, 일보다는 ‘여가에 더 중심’을 둔다는 17.1%였다.

우리나라가 앞으로 어떤 나라가 됐으면 좋겠냐는 질문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41.1%), ‘정치적으로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23.8%), ‘사회복지가 완비된 나라’(16.8%) 순으로 답했다.

북한에 대해선 ‘힘을 합쳐야 할 협력 대상’(42.0%), ‘우리가 도와줘야 할 대상’(8.8%) 등 우호적인 응답이 50.8%를 차지했다. 이는 2013년 44.4%, 2016년 40.6%에 비해 높아진 것이다. 하지만 통일에 대해선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61.1%로 조사 이래 가장 높았다. ‘가급적 빨리해야 한다’ 응답은 11.1%에 그쳤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